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게자씨 [언론·출판/언론/방송]
일제시대 개신교 간행물. 1931년 6월 평양신학교 학생인 윤병식, 방지일 등이 자신들의 신앙 간증문을 등사 발행하다가 박윤선, 주기철 등이 동인으로 참여하여 1933년 12월 제2권 제12호부터 국한문을 섞어 내리 편집하여 인쇄 발행하였다. 내용은 권두언, 설교, 산
견성암 / 見性庵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암자.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부속암자이다. 1908년에 만공이 창건하고 1930년 도흡이 중건한 이래 여러 차례 중수를 거듭, 비구니들의 수련도량으로 사용되었다.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가장 대표적인 수도처이다
결두전 / 結頭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경복궁 중건을 위하여 전세에 덧붙여 징수한 일종의 부가세. 흥선대원군은 1865년부터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경비를 강제기부금형식인 원납전으로 충당하는 한편, 토지 1결당 전일백문(錢一百文)을 결두전으로 거두었다. 당시의 원납전은 ‘원납(怨納)’, 결두전은 ‘
겸이포제철소폭파의거 / 兼二浦製鐵所爆破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광복군 총영의 정인복이 황해도 겸이포의 제철소를 폭파한 의거. 1920년 8월 광복군 총영의 영장(營長) 오동진(吳東振)은 미의원단이 통과하는 지역의 일본 식민 통치기관(미쓰비시 제철소)을 폭파함으로써 그들에게 한국인의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알리고자 시도한
겸전의 / 兼典醫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태의원 의관. 1894년 종래의 내의원을 태의원으로 개편하면서 두었다. 정원은 4인이며, 직급은 판임관으로 주임관인 전의의 하위직이었다. 1895년 관제개정 때 전의보로 개칭되었다가 1896년에 폐지되었다.
경 / 卿 [역사/근대사]
1895년 4월 이후 궁내부 소속 각 원(院)의 장관급 관직. 1895년 4월 궁내부 체제가 대폭 개편되면서 장례원, 시종원, 규장원, 회계원, 내장원, 제용원 등 6개의 원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각 원 아래에 고유 업무를 수행하는 관청들을 부속시켰다. 경은 칙임관으로
경교장 / 京橋莊 [정치·법제/정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가 1945년 11월 중국에서 환국한 이래 생애를 마칠 때까지 생활하던 사저. 경교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인들뿐만 아니라 민족진영 인사들의 집결처로, 김구가 주도하는 반탁, 건국, 통일운동의 민주적 총본산격이어서 이승만의 돈암장 혹은 이
경기고등학교 / 京畿高等學校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1899년 4월에 공포된 「중학교관제」에 의거해 실업에 나아가려는 사람에게 정덕(正德)ㆍ이용(利用)ㆍ후생(厚生)의 길을 가르치고 중등교육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광복 후 1946년 6년제 경기중학교로 개편되
경기도지도 / 京畿道地圖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경기도 부·군·현 지도와 영종(永宗)·대부(大阜)의 진도(鎭圖)를 모아놓은 지도집. 중앙정부의 명에 의하여 각 지방의 수령들이 작성한 것으로 사료되며, 음죽현(陰竹縣) 지도에 ‘동치(同治) 11년 3월’이라는 간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1872년 전후에
경농재 / 慶農齋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경복궁 후원에 있던 전각. 1893년에 건립하였다. 그 위치는 신무문 밖의 후원 경무대 앞이었다. 부속건물인 대유헌과 함께 농사를 장려하는 뜻에서 건립된 것이다. 밭을 8등분하였는데, 이것은 팔도의 상징이었다. 왕이 친히 여기에 나가 농사를 관찰하고 돌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