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총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서사무가 [문학/구비문학]
소설이나 설화와 같이 줄거리를 갖춘 서사 양식에 속하는 무가. 서사무가의 기원은 고대 무속 제전에까지 소급된다. 영고(迎鼓)·동맹(東盟)·무천(儛天) 등과 같은 고대 제천의식이나 단군제(檀君祭)·동명제(東明祭)·혁거세제(赫居世祭)와 같은 국조제(國祖祭)는 고대의 무속
서사민요 [문학/구비문학]
이야기를 갖춘 민요. 서사민요는 서사시이지만 반드시 삼인칭 시점에서 전개되지 않고, 노래 부르는 사람이 주인공의 심정을 직접 토로하기도 한다. 서정적인 수법이 적지 않게 사용되어, 어느 한 부분만 들으면 서정민요와 비슷하다. 서사민요는 남녀 구별이 없이 부를 수 있지만
서산대사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승군장(僧軍將)이었던 서산대사 휴정(休靜)에 관한 설화. 휴정만이 등장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흔히 사명당(泗溟堂)유정(惟政)과 함께 지혜 또는 도술을 겨루는 이야기로 전승된다. 이 밖에도 서산대사에 얽힌 민간설화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들 자료에
서울쥐 시골쥐 [문학/구비문학]
두 마리의 쥐를 통해서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초라하지만 정신적인 평화를 누리는 삶이 더 낫다는 것을 보여 주는 설화. 이 설화는 서울쥐와 시골쥐를 통해서 초라하더라도 평화롭게 사는 것이 화려하게 보이지만, 불건강하고 실속 없는 생활보다 더 낫다는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허
석탈해신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제3대 왕이며 석씨 왕조의 시조가 된 탈해에 관한 신화.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탈해왕조와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의 탈해이사금조가 주된 자료이나, 『삼국유사』 권2의 가락국기에도 탈해왕에 관한 기록이 조금 있다. 「석탈해신화」 속에는 왕위 등극의 전제가
선녀홍대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 일화와 관련된 문헌설화. 권문해(權文海)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권15 거성(去聲) 대(隊)조에는 ‘선녀홍대(仙女紅袋)’란 제목으로 되어 있으나, 내용이 거의 비슷한 이야기가 성임(成任)의 『태평통재(太平通載)』 권6
선덕왕지기삼사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선덕여왕의 지혜로움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紀異篇)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설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첫째는 향기 없는 모란꽃 이야기로, 당나라 태종이 붉은색·자주색·흰색의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란의 그림과
선도산성모설화 [문학/구비문학]
경주의 서산 선도산성모가 불사(佛事)를 도와준 감응(感應)의 이적에 관한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5 감통편(感通篇)에 ‘선도성모수희불사(仙桃聖母隨喜佛事)’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서 일연(一然)은 다음과 같은 찬시를 지었다.
선류몽설화 [문학/구비문학]
높은 곳에 올라서 소변을 보았더니 그 물이 나라에 혹은 천하에 가득 찬 꿈을 꾸었다는 내용의 설화. 『동국여지승람』 권31에 경종비(景宗妃)에 관한 내용이, 『고려사』의 세계(世系) 및 『동국여지승람』 권12에 보육(寶育)과 진의(辰義)에 관한 내용이, 『삼국유사』 권
선문대할망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거녀(巨女)인 선문대할망의 모습과 창조 업적·죽음 등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한다. 담수계(淡水契)편 『탐라지(耽羅誌)』 등 문헌에는 ‘설만두고(雪慢頭姑)’라고 표기되어 있다. 제주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단편적인 전설로 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