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곽한일 / 郭漢一 [역사/근대사]
1869-1936년. 의병장. 자는 원우(元佑), 호는 장암(壯菴). 충청남도 아산 출신. 1896년 전기 의병항쟁기에 안성방면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나, 일본군과 진위대(鎭衛隊)가 합세하여 공격해옴으로써 아산·예산·청양 등지로 잠행하면서 동지를 규합하는 데 힘썼다. 19
곽해룡전 / 郭海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과 함께 1917년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전한다. 원나라 때 인물인 주인공 곽해룡의 영웅적인 무용과 충렬을 그린 작품이다. 이 계통의 다른 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주인공에게 초인적인 힘을 부여하여 영웅화하였다는 점에서
곽현 / 郭鉉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인의 곽자견, 어머니는 찰방 정유건의 딸이다. 조헌과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송시열의 아버지 송갑조와 교분이 두터웠다. 1623년 인조반정 뒤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관 / 管 [예술·체육/국악]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궁중아악에서 쓰인 관악기. 우리 나라에 최초로 도입된 아악기, 즉 고려 예종 11년(1116)의 대성(大晟) 아악기에는 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조선 초기에 와서야 문헌에 등장한다.
관 / 關 [정치·법제/법제·행정]
품급이 같은 아문 사이에 서로 보내고 받는 문서 . 또는 높은 아문에서 낮은 아문에 보내는 공문서를 관 또는 관문이라고 한다.
관가정문집 / 觀稼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광정의 시·서(書)·소·회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인 석기(奭基)의 지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은 시 4수, 서(書) 2편, 소(疏) 1편, 회계(回啓
관각당상 / 館閣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 소속의 당상관. 홍문관의 대제학·제학·부제학, 예문관의 대제학·제학·직제학,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을 말한다. 홍문관·예문관은 보통 한 사람이 겸직하여 양관대제학이라 칭하였으며,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관각류집 / 館閣類集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궁중의 당이나 전을 지을 때 지은 명신들의 기·상량문 등의 관각문자를 모은 기문집(記文集). 1책. 필사본. 편자와 연기는 미상이나 글쓴 사람들로 추정해보아 철종·고종 연간으로 보인다. 내용은 정원용(鄭元容)의 「정본당중건기 政本堂重建記」, 조두순(趙斗淳)의
관각문학 / 館閣文學 [문학/한문학]
임금의 사명(辭命)이나 사대교린(事大交隣)의 표전(表箋)을 전담하는 홍문관·예문관 등 문학지관(文學之館)에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문자행위. 조선시대에 이르러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서거정(徐居正) 등이 국초에 문형의 영예를 누리었다. 문형 가운데서도 특히 시에 뛰어
관객석 / 觀客席 [예술·체육/연극]
극장 등에서 관객이 앉을 수 있도록 만든 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