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축성수 / 祝聖壽 [문학/고전시가]

    1429년(세종 11) 궁중에서 연향(宴享)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악장. 「가성덕」과 마찬가지로 중국에 대한 사대적인 측면에서 성수(聖壽)를 축원하는 노래다. 이로써 중국에 대한 사대정책의 일환으로 중국 사신이 조선에 오면 연향에서 사용된 악장 문학임을 알 수 있

  • 축원무가 / 祝願巫歌 [문학/구비문학]

    사실의 전달이나 대상의 묘사, 사물의 열거, 기원·훈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무가. 축원무가를 화자(話者)의 시점으로 나누면 신의 언어인 ‘공수’와 인간의 언어인 ‘비는 말〔祝願〕’로 대별된다. ‘공수’와 ‘비는 말’은 각각을 독립적으로 볼 때 축원무가라고 할 수 있

  • 춘당유사 / 春堂遺事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변중랑의 유고와 세계·기적 등을 수록하여 1863년에 간행한 실기. 1책. 목판본. 1863년(철종 14) 병암서원(屛嵓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시찬(金是瓚)과 홍석주(洪奭周)의 서문이, 권말에 조인영(曺寅永)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세계(世系)

  • 춘망부 / 春望賦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부(賦).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권1과 『동문선 東文選에』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의 내용은 앞부분에 봄의 여러 경치와 흥겨움을 묘사하였다. 춘망 중에서 이별의 한(恨)이요, 관산(關山) 밖의 출정간 군사나 귀양가는 사

  • 춘몽 / 春夢 [문학/고전산문]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1책. 국한문 필사본. 필사기는 적혀 있지 않으나 작품 중간에 “경장(更張)이후에 난 양반(兩班)도 쓸ᄃᆡ 업셔”의 구절이나, “근래에 사견법(飼犬法)을 실시하여 개 목에 주인의 번지와 직함을 쓰게 하니, 개를 보고 보국(輔國)대감 행차다, 판

  • 춘몽연 / 春夢緣 [문학/고전산문]

    1929년 이능화(李能和)가 개찬한 「춘향전」계열의 작품.한문본. 「춘명연」은 총인(總引)과 작품으로 되어 있다. 총색인은 다섯 항목으로 춘향가지본거(春香歌之本據)·기생지기원급연혁(妓生之起源及沿革)·광대지배우업(廣大之俳優業)·조선희극(산대희)지유래[朝鮮戱劇(山臺戱)之由

  • 춘산노인이야기 / 春山老人─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필사본. 『수운가사(水雲歌辭)』 10편 중 제10편에 수록되어 있다. 4음보 1행으로 총 76행이며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이 작품은 다소 평이하게 동학의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당대를 개벽 후 금수시대(禽獸時代)로 보

  • 춘수가 / 春修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목판본.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이 있으나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간행한 국한문혼용본 및 국문본 2종이 『용담유사 龍潭遺詞』 권20에 수록되어 있다. 「춘몽가 春夢歌」·「심수가 心修歌

  • 춘유가 / 春遊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기일(其一)·기이(其二)가 있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기일은 모두 44행이며, 기이는 91행으로 국·한문혼용 표기로 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仁同) 출신 장현광(張顯光)을 모신 동락서원(同洛書院)을 중심으로 일가 부녀들이

  • 춘일 / 春日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사가집(四佳集)』 시집 권31과 『속동문선(續東文選)』 권9에 수록되어 있다. 봄을 맞이하여 봄날 자연의 정경과, 그에 따라 일어나는 시름과 감흥의 교차함을 읊었다.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빛의 꾀꼬리는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