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곽재우설화 / 郭再祐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곽재우설화는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전설화에서는 민중들의 절대적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서 임진왜란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하는 반면, 문헌설화에

  • 곽전 / 藿田 [경제·산업/산업]

    미역을 따는 미역밭. 미역은 대표적인 식용 해조류의 하나로, 우리 나라 사람들이 특히 즐겨 먹는다. 오늘날에는 미역의 인공양식법이 개발되어 갈색혁명이라고 할 만큼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으나, 과거의 자연산 미역은 그 착생지가 한정되어 있었으므로 양산하기가 어려웠다. 미역

  • 곽종석 / 郭鍾錫 [종교·철학]

    항일기의 유학자(1846∼1919). 을사조약 체결 후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였고 파리의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고 옥고를 치렀다.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스승 이진상에게서 성리학을 이어받아 주리에 입각하여 이기설을 주장하였다. 저서에는《면우문집》이 있다. 19

  • 곽준 / 郭䞭 [역사/조선시대사]

    1551(명종 6)∼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승화 종손,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지완, 어머니는 초계정씨로 옥견의 딸이다. 배신의 문인, 박성과 교유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안음현감으로 함양군수 조종도와 함께 호남의 길목인 황석산성을 지키던

  • 곽중규 / 郭重奎 [역사/근대사]

    1891-1950.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옥천 출신. 1919년 3월 고향인 옥천군 이원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대전형무소에서 3개월간 복역하였다. 1921년 9월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1922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비서로 취임하였

  • 곽지 / 郭支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의 옛 지명. 지금의 제주시 애월읍 서부 해안지대에 위치하였으며, 곽지리(郭支里)와 곽지악(郭支岳)이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옛날 곽금성(郭錦城)이라는 성이 있어 이 성에 의지한다는 뜻에서 곽지라는 지명이 붙었다고 하나, 옛 기록에 곽금성에

  • 곽지패총 / 郭支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걸친 시기의 패총 유적. Ⅱ·Ⅲ지구는 뚜렷한 유적성격을 가지고 있다. Ⅱ지구는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덧띠무늬토기[粘土帶土器] 등이 나오는 청동기시대층과 곽지패총의 대표적 퇴적층인 아가리가 외반된 토

  • 곽지흠 / 郭之欽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1666(현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곽회영 증손, 할아버지는 곽설, 아버지는 곽희태, 어머니는 이제남의 딸이다. 1646년(인조 24)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세자시강원문학·왜차접위관이 되어 대마도의 사신을 맞았으며

  • 곽진 / 郭瑨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생원 곽한, 어머니는 황언량의 딸이다.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5세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성일의 초유문을 읽고 그의 둘째형과 함께 의병을 모집, 화왕산성에 들어가 왜적과 싸웠다. 시문에 능

  • 곽한봉임명문서 / 郭漢鳳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6월 7일. 효릉의 참봉 곽한봉(郭漢鳳)을 희릉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희릉은 조선 11대왕 중종의 첫 번째 계비인 장경왕후 윤씨의 무덤이다. 3개의 왕릉(희릉, 효릉, 예릉)과 후궁, 대군, 공주의 무덤들로 이루어진 서삼릉 경내에 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