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곽수강 / 郭壽岡 [종교·철학/유학]
1619년(광해군 11)∼1660년(현종 1).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곽홍점, 모친은 서적의 딸 이천서씨이다. 동생은 곽수진이다. 1654년(효종 5) 식년시 생원 3등 23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대학》을 강론하는 데에 뛰어나 대사성으로부터 인
곽수범 / 郭洙範 [역사/근대사]
1910-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서울 휘문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28년 10월 동맹휴학 사건 가담자로서 퇴학을 당하였다. 1929년 4월 서울 성봉중학 4학년으로 편입하였으나 7월에 자퇴를 하였다. 1931년 대구 지역의 학생운동·노동조합운동·사
곽순 / 郭珣 [종교·철학/유학]
1502(연산군 8)∼1545(명종 즉위년). 조선 중기의 문신. 곽성기 증손, 할아버지는 곽효원, 아버지는 사재감첨정 곽수녕, 어머니는 충순위 김철단의 딸이다. 1528년(중종 2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박사·호조좌랑·진보현감·기주관 등을 거쳐, 154
곽씨전 / 霍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혹은 3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곽 소저가 김생의 정혼 예물을 돌려달라는 청을 단호히 거절하고, 김생의 옥고를 대신한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중국의 「목란종군(木蘭從軍)」에 버금갈 수 있는 희생정신을 표시한 것으로, 한국적 열녀
곽암 / 藿巖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판지마을 앞 바다에 있는 바위. 2001년 12월 20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지금의 울산 학성동에 자리한 신학성(神鶴城)을 방어하던 장군이었던 박윤웅(朴允雄)은 지방호족 세력 정비에 공을 세워, 유포에 있는 미역
곽장양문록 / 郭張兩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0권 10책. 낙질본. 국문 필사본. 「곽장양문록」은 「몽옥쌍봉연록」에서 장홍이 진태강과의 사이에서 낳은 광염·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연작의 후편이다. 광염과 혜가 거듭 곽씨 가문과 혼인하도록 하여 서사의 폭을 양 가문으로 확장시키고,
곽재구 / 郭在九 [역사/근대사]
1889-1932년. 의병. 전라남도 나주 출신. 영암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1907년 심남일(沈南一)의진의 부장(部將)인 권택(權澤)의 부하로 호남 일대에서 의병활동을 하였다. 1908년 12월 권성화(權聖化) 등과 그들의 의병활동을 일본관헌에게 밀고한 자를 나주군
곽재기 / 郭在驥 [역사/근대사]
1893-1952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경(敬). 충청북도 청주 출신. 지엽(芝燁)의 아들이다. 서울에서 경신학교를 졸업하고 귀향하여 청주 청남학교 교사로 있었다. 1909년 청소년으로 조직한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의 당원으로 지하공작을 진행하였
곽재우 / 郭再祐 [종교·철학/유학]
1552(명종 7)∼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의병장. 할아버지는 부사 곽지번,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곽월, 어머니는 진주강씨이다. 조식의 외손서이며, 김우옹과는 동서 사이이다. 1585년(선조 18) 34세의 나이로 별시의 정시 2등으로 뽑혔다. 임진왜란시
곽재우 유물 일괄 / 郭再祐遺物一括 [예술·체육/공예]
조선 후기의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일괄 유물. 보물 제671호.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 그의 호는 망우당이다. 이 유물들은 임진왜란 당시 그가 사용했다고 전하는 장검과 마구, 그리고 평소에 쓰던 벼루, 연적, 철인, 갓끈 등의 일괄품이다. 장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