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최익성전 / 崔翼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1책. 필사본. 편말(篇末)에 ‘계축정월이십구일필서’라 적혀 있으며, 뒷 부분에 「삼옥삼주기(三玉三奏記)」라는 소설도 함께 들어 있다. 「최익성전」은 전면 97면으로서, 결말부의 마무리가 되어 있지 않은 채,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절정
최인희 / 崔寅熙 [문학/현대문학]
1926년∼1958년. 시인. 강원도 삼척 출생. 삼척보통학교, 대구 대륜중학교(大倫中學校), 1949년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교편을 잡았다. 1950년『문예(文藝)』에 「낙조(落照)」‧「비 개인 저녁」등을 발표하여 문단에서 활동하다가, 33세의 젊은 나이로
최자 / 崔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명유(名儒)인 문헌공 최충(崔冲)의 6대손이다. 우복야 최민(崔敏)의 아들이다. 1212년(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사록(尙州司錄)이 되었다. 치적이 우수하여 국자감 학유(國子監學諭)에 이르렀
최재서 / 崔載瑞 [문학]
1908-1964 영문학자. 문학평론가. 황해도 사람. 경성대학 영문과 졸업 후 영국 런던대학에 유학. 귀국하여 경성대학 강사, 보성전문, 법학전문 교수 등을 지냈다. 1934년부터 문학평론을 시작했고, 1940년대에는 이른바 <국민문학론>을 제창, 친일문학운동에 선
최찬식 / 崔瓚植 [문학]
현대의 소설가(1881∼1951). 관립한성중학교에서 수학,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를 번역한 뒤 신소설 창작에 착수한다. 말년에는 최익현의 실기를 집필했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다.〈추월색〉을 비롯하여〈안의 성〉·〈금강
최척전 / 崔陟傳 [문학/고전산문]
1621년(광해군 13) 조위한(趙緯韓)이 지은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이 작품은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수록된 「홍도(紅桃)」가 조위한에 의하여 소설화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명·청간의 세력교체를 배경으로 하여, 조선·일본
최천익 / 崔天翼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농수고』, 『농수집』 등을 저술한 시인.여항시인. 아버지는 흥해의 아전이었던 준걸(俊傑)이다. 어려서 같은 고을의 운와(耘窩)라는 사람에게 배웠으며, 이형상(李衡祥)에게서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다. 집안 대대로 흥해의 군리(郡吏)였는데, 그만은 열심히 공부해서
최치원설화 / 崔致遠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인 최치원에 관한 설화. 최치원이 당나라에 있을 때의 일화에 관련된 문헌설화이다. 한 편의 설화이기는 하나, 내용 구성면에서 다분히 소설적 면모를 띠고 있어 소설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원래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었던 것인데, 성임
최학송 / 崔鶴松 [문학]
1901-1932. 소설가. 신경향파문학의 대표적 작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각지를 떠돌며 품팔이, 나무장수, 두부장수 등 밑바닥 생활을 했다. 이 체험이 바로 그의 문학의 바탕이 되어, 1924년 <조선문단>에 <고국>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등장, <탈
최한경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1책. 한글 필사본. 이 작품은 어머니의 원수를 갚는 결미 부분이 빠져 있는데, 그 부분은 전투 장면이 서술된 영웅담일 것으로 추정된다. 후대 작품의 양상을 띠고 있는데, 사건 전개에서는 근대적인 변모 양상을 보이는 반면, 작중 인물의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