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곽관견양지 / 槨棺見樣紙 [정치·법제]
국상(國喪)에 사용되는 관의 크기를 표시한 일종의 견본지. 외곽과 내관의 길이를 하고(下高), 상고(上高), 하광(下廣), 상광(上廣)으로 구분하여 각각 표시하였다.
곽낙삼 / 郭洛三 [역사/근대사]
1864-미상.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무안군(務安郡)이다. 1907년(융희 1) 일제에 의해 고종 황제가 퇴위를 당하고 강압적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면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진행되었다. 조국을 위해 의병 활동에
곽낙원 / 郭樂園 [역사/근대사]
1859-1939.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도 재령군(載寧郡)이다. 남편은 김순영(金淳永)이다. 평생 조국의 독립을 위해 독립운동가들과 항일단체들을 후원하였다. 1911년 7월 22일 아들 백범(白凡) 김구(金九)가 신민회(新民會) 활동으로 인하여 징역
곽난 / 霍亂 [과학기술/의약학]
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몸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곽분양전 / 郭汾陽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제작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소설은 당나라의 실재인물이었던 곽자의(郭子儀)의 생애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본래 자의는 명문의 후손으로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이곳저곳을 방랑하면서 수많은 고난을 겪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인을
곽산 / 郭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정주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려의 장리현(長利縣)인데, 994년(성종 13) 성종이 평장사(平章事) 서희(徐熙)에게 명하여 이곳에 살던 여진족을 쫓아내어 성을 쌓게 하고, 군사상 요지로서 곽주라 칭하여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곽산읍지 / 郭山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평안북도 곽산군(지금의 정주군 곽산면)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平安北道郭山郡邑誌地圖合付冊(평안북도곽산군읍지지도합부책)’으로 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연혁(沿革)·군명(郡名)·관원(官員)·강계(疆界)·산천(山川)·영애(嶺阨)·
곽산향교 / 郭山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정주군(현대의 곽산군) 안흥면 삼단동에 있는 향교. 조선 중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신문(神門)·향축당(香祝堂)·동재·서재 등이 있었으
곽상훈 / 郭尙勳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6-1980). 호는 삼연(三然). 1920년대 후반, 항일단체인 신간회에 들어가 검찰위원으로 활약했으며 관동대지진 때는 한국인 희생자의 명단을 입수, 한국인 학살사건의 진상기록을 수집해 그로 인해 상해로 망명생활을 했다. 귀국 후 일
곽색전 / 郭索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가전체소설. 곽색은 오나라 출신으로 그의 가계 소개를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곽색의 성격은 조급하나 뜻이 높아서 세상에 나가지 않고 못[澤] 안에 있었다. 왕이 그를 등용하고자 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왕은 곽색이 대대로 횡초지공(橫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