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이춘영 / 李春永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896년(고종 33).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덕수. 1895년 안승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원주를 점령한 뒤 제천으로 진군하여 제천·단양·청풍·충주 등지에서 일본군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떨쳤다. 이후 유인석을 의병대장으로, 중군장이 되어
이충 / 李沖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보 7대손, 대 증손, 할아버지는 양, 아버지는 정빈, 어머니는 최희령의 딸이다. 1600년(선조 3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무장현감, 성천부사, 형조정랑, 광주목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충국 / 李忠國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77년(정조 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문한, 조부는 이재필, 부친은 이지. 외조부는 권태영, 처부는 남도형이다. 숙부 이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 병과 7위로 급제한 후, 고창군수로 부임하여 많은 선정을
이충호 / 李忠鎬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이황의 종손, 부친은 이중경이다. 이만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0년(광무 4) 장릉참봉을 지냈으며, 주자학과 퇴계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에는 보문의숙을 세우고 가르침을 베풀었다.《주서절요》·《계몽전의》·《
이칙 / 李則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강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질, 어머니는 정지당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장흥고직장, 병조좌랑, 이조정랑, 승정원동부승지, 좌우부승지, 이조참판, 충청도관찰사,
이태순 / 李泰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9∼1840). 1801년(순조 1) 즉위별시전시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1810년 장령이 되었을 때 시무4조를 진소하여 왕으로부터 가납을 받았다. 1718년 정약용의 사학지원을 소론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고, 1823년 대사간의 지위에 올랐
이태연 / 李泰淵 [종교·철학/유학]
1615(광해군 7)∼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게 증손, 할아버지는 도, 아버지는 덕사, 어머니는 박정로의 딸이다. 1642년(인조 20) 진사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자·검열을 거쳐 이듬해 대교가 되고, 1646년 설서·정언·지평 등을 역임하
이태좌 / 李台佐 [종교·철학/유학]
1660(현종 1)∼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현손, 정남 증손, 할아버지는 시술, 아버지는 세필, 어머니는 박세모의 딸이다. 영의정 광좌 재종형이다. 1699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에 올랐다. 그후 이조정랑, 강원도관찰사, 형조판
이태중 / 李台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6). 신임사화 때 화를 입은 노론 4대신의 신원을 주장하다가 탄핵받았다. 1740년에 지평이 되어 좌의정 유봉휘, 영의정 조태구를 파직시킬 것을 주청하다가 갑산에 유배, 풀려나와 부교리·황해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예조참판·부제학
이태직 / 李台稙 [문학/고전시가]
개항기 주차일본조선공사관 참서관, 대리공사 등을 역임한 외교관. 한흥군(韓興君)이여발(李汝發)의 6대손이다. 아버지는 이승기(李承耆)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서울에서 출생하여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으나, 형 이경직(李庚稙)이 정만조(鄭萬朝) 등과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