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총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생활한복 / 生活韓服 [생활/의생활]
생활한복은 1990년대 전통한복을 현대 생활에 적합하도록 간략하게 변화를 준 한국적 양식의 의복을 지칭하는 용어. 한복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기능성과 실용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가미한 것이 특징적이다.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적합한 한복 유형이라는 의미에서 생활
서강대교 / 西江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서울특별시 중서부 지역 중심부인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다리이다. 교량 북단은 창전로와 직결되어 신촌 및 서울 도심 방향으로 손쉽게 진출입 할 수 있으며, 교량 남단은 여의도
서거차도 / 西巨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속하는 섬. 하조도(下鳥島)에서 남서쪽으로 14㎞ 지점에 있으며, 진도군 임회면 해안으로부터 남서쪽으로 26㎞ 떨어져 있다. 동거차도(東巨次島)·윗대섬 등과 함께 거차군도(巨次群島)를 이룬다. 동쪽에 대마도(大馬島)·관매도(觀梅島), 남서쪽에
서검도 / 西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84명(남 41명, 여 4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1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남쪽 선착장 주변에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9㎢, 밭 0.12㎢, 임야 0.32㎢이다. 넓은 간척
서귀본향당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西歸)·동홍(東烘) 두 마을의 수호신의 본풀이. 이 신을 모신 본향당은 서귀포시 서귀동에 있다.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과세문안제, 2월 13일 영등손맞이, 7월 13일 마불림대제, 11월 14일 본향당신 생신제를 지낸다. 이 제일의 당굿 때
서귀포시먼나무 / 西歸浦市─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있는 먼나무. 서귀포 구시청사 구내에 있는 먼나무는 그 크기에 있어서나 아름다움에 있어서 제주도의 자랑거리라 할 수 있다. 나무의 높이는 6.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1.4m인 거목으로 수관(樹冠)이 사방으로 고루 발달하였고 지름이
서귀포항 / 西歸浦港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무역항구. 제주도 남부지역의 화물수송 거점항이며 연근해로 출항하는 어선들의 모항으로서 어업전진기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서귀포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미항으로 국제적인 관광항으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 2009년의 전체 입출항 선박은 9
서낙동강교 / 西洛東江橋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과 봉림동을 연결하는 교량. 1981년부마고속도로(釜馬高速道路)의 부대교량으로 준공되었으며, 너비 21.4m, 길이 429m이다. 상부구조는 30m의 PSC 거더(girder) 14경간으로서, 1경간·3경간·4경간 연속거더로 구성되었으며, 하부구
서남방언 / 西南方言 [언어/언어/문자]
전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서남방언은 대방언권의 하나로,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북 방언과 전남 방언으로 나뉜다. 대체로 전남방언 화자들은 어미 ‘-으니까’를 ‘-응깨’로 발음하며, 전북방언 화자들은 ‘-응개’로 발음한다. 서부와 남부의 많은 섬 지역들이 어촌 방언으
서낭대싸움 [생활/민속]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靈山)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쇠머리대기싸움에 앞서 서전(序戰)으로 서낭기를 들고 싸우는 놀이이다. 영산 쇠머리대기싸움은 지금은 3월 1일 줄다리기와 함께 행해지나, 옛날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거행하였다. 먼저 서낭대싸움이 있고 그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