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영고 / 迎鼓 [종교·철학/민간신앙]
부여시대의 제천의식. 공동체의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하나로서 풍성한 수확제·추수감사제였다. 이러한 성격의 추수감사제는 다른나라에서도 행해졌다.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삼한의 시월제가 그것이다. 이것들과 영고의 차이점은 영고만 음력 12월에 행해진다는 점이다. 이
영산재 / 靈山齋 [종교·철학/불교]
49재 가운데 하나. 죽은지 49일이 되는 날에 죽은 영혼의 명복을 비는 불교의례가 49재이다. 이 49재에는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 영산재가 있다. 이 중에서 영산재는 가장 규모가 큰 의례이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영산재는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영산회상을
영서집 / 潁西集 [종교·철학/유학]
전명용의 문집. 목활자본, 서: 황찬주(1921), 이세연(1921), 후지: 전종석(1921), 4권 2책. 권1과 권2에는 모두 400수 시 수록. 권3에는 3편의 전문과 7편의 편지와 서문 6편‧ 기문 3편‧ 발문 3편‧ 설 3편‧ 상량문 3편‧ 제문 6편 ‧잡저
영성체 / 領聖體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에서 미사 때 축성된 빵과 포도주를 받아 먹는 것. 빵과 포도주는 미사중 성찬의 전례 부분에서 사제가 축성함으로써 살아 있는 예수의 몸과 피로 변하며 이때의 빵과 포도주를 성체와 성혈이라고 한다. 신자들은 이 성체를 받아 먹음으로써 예수를 몸안에 모시게 되는데 이
영아소동 / 嬰兒騷動 [종교·철학/개신교]
1888년 여름에 일어난 서양인과 기독교에 대한 배척소동. 1885년 시작된 선교사업은 의료와 교육분야에서 급속히 발전하였다. 이를 시기한 일부 인사들이 서양인들이 한국의 어린이들을 유괴하여 상해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서 서양인에 대한 적개심과
예기 / 禮記 [종교·철학/유학]
오경의 하나. 주대말에서 진한대에 걸쳐 여러 유학자들이 고례에 관한 학설들을 모아 집록한 것이다. 이 책은 4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책은 일반적으로 공자가 예예 대해 가르치고 체계화한 것을 그 제자들이 문자로 정착시켰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저술된 <예기>에 관한
예기집설대전 / 禮記集說大全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0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14.9×12.9cm, 반곽은 13.3×10.3cm이다. 표제는 예기(禮記)이다. 서문(序文)은 진호(陳澔)의 서(序)로 되어 있다. 권수는 15권 10책이다. 권삼현장(權參鉉章)
예기천견록 / 禮記淺見錄 [종교·철학/유학]
권근의 <예기>해설서. 원나라 진호의 <예기집설>을 저본으로 하여 자기의 설을 덧붙였다. 1405년 임금의 지시로 처음 간행되었다. 26권 11책으로 되어 있다. 권근의 자서에 의하면 이색의 뜻을 이어받아 이 책을 편성했고, 1407년 경연에서 이 책을 진강하였다고 한
예배 / 禮拜 [종교·철학/개신교]
경외(敬畏)의 대상인 인격체 혹은 비인격체에 대하여 취하는 의식. 예배라는 말은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주로 개신교나 천주교의 종교행사를 할 때 쓰이고, 유교의 제사, 불교의 불공이나 선(禪)에 대해서는 넓게 쓰이지 않는다. 예배는 본래 ‘숭배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행위
예성제 / 禮成祭 [종교·철학/유학]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기 위하여 위판(位版)을 조성하여 승배(陞配)한 뒤에 올리는 의식. 예성제를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대성전에 승배의 사유를 고하는 고유제(告由祭)를 올리고 동·서무(東西廡)에 승배시킨 뒤에 다음날 거행하게 된다. 이때는 동·서무의 각 위에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