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장수향교 / 長水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장수면 선창리에 창건하였다. 1686년(숙종 12)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877년(고종 14)에 현감 홍우정(洪佑鼎)이

  • 장식 / 掌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장식은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장의(掌醫)와 같이 직속상관인 사찬(司饌, 종6품)을 돕고 그의 감독과 지시를 받았다. 이들의 임무는 제반음식을 만드는 것을 맡고, 등불과 촛불,

  • 장악원 / 掌樂院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 및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 장악원은 조선 초기 장악서와 악학도감의 전통을 전승한 1470년(성종 1) 이후 1897년 교방사로 개칭될 때까지 국립음악기관의 명칭이었다. 궁중의 여러 의식 행사는 장악원 소속의 악공·악생·

  • 장연향교 / 長淵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장연군 장연읍 읍동리에 있는 향교. 1400년경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 협실(夾室)·동무(東廡)·서무(西廡)·신문(神門)·홍전문(紅箭門) 등이 있

  • 장옷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 장옷은 두루마기와 비슷한 형태로 겉감은 초록색, 안감은 자주색을 사용하였다. 길에는 쌍섶과 무가 있고 소매부리에는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옷깃과 옷고름은 자주색이고 깃에는 동정을 달았으며 이중고름을 달았다. 옷감은 명

  • 장용위 / 壯勇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중앙군의 하나인 충무위에 소속된 병종. 1459년(세조 5) 천인 가운데에서 활쏘기(木箭)·달리기(走)·힘쓰기(力) 등을 시험보아 뽑는 노군(奴軍)의 병종으로 장용대(壯勇隊)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1475년(성종 6) 장용위로 개칭되면서 천인

  • 장원 / 掌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원서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6품이다.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종래의 상림원(上林園)을 장원서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다. 장원서의 수석 관원으로서 궁중의 정원 관리와 과수·화초 등을 재배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또 각 지방에서 궁중

  • 장원서 / 掌苑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원·유·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태봉 때의 식화부(植貨府)가 고려의 내원서(內園署)로 바뀌고, 조선 건국 초에 동산색(東山色)·상림원(上林園)이라고 불렀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장원서로 개정되었다. 관원으로는 조선 전기

  • 장응규 / 張應奎 [역사/조선시대사]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무신. 을묘왜변 중에 봉사 정윤과 함께 장수로서 강진에 파견, 휘하의 군사 2백여 명만 죽고 장응규 혼자 돌아왔다. 안악의 교생으로 있던 1556년(명종 11)에 수군 윤순을 고발하는 계본을 올렸는데, 의금부에서 이를 조사하는 중에 계본의 내용

  • 장의 / 掌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식(掌食)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찬(司饌, 종 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세자궁에 약을 다리고 올리는 등 약에 관한 제반임무를 담당하였다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