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나장복 / 羅將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하부군졸인 나장의 복식. ≪경국대전≫에 나장은 검은 두건인 조건(皁巾) 쓰고 청색의 소매없이 만든 쾌자와 같은 옷인 청반비의(靑半臂衣)를 입으며, 납작하게 만든 끈으로 된 띠인 조아(條兒)를 맨다고 하였다. 그리고 형조·사헌부·전옥서의 나장은 검고 둥근 깃의

  • 나재문집 / 懶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신열도의 시·계·서(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127수, 교서 2편, 사제문(賜祭文) 2편, 소 4편, 계 11편, 권4·5에 정문(呈文)

  • 나재채수신도비 / 懶齋蔡壽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인 나재 채수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1998년 8월 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높이는 360㎝이다. 이수는 화강암을 높이 65

  • 나졸재집 / 懶拙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산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33년(순조 33) 영남사림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영종대왕

  • 나주 / 羅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궁예가 고려 태조로 하여금 공취케 한 금산군(錦山郡)을 나주(羅州)로 개칭하고, 현종(顯宗) 때에 나주목(羅州牧)으로 된 것이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습용되었다.

  • 나주금성관 / 羅州錦城館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나주목사 이유인이 건립한 관청.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2037호. 이 건물은 조선 초기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한 것으로, 1603년(선조 36)에 크게 중수하였고, 1884년(고종 21

  • 나주목 관아와 향교 / 羅州牧 官衙와 鄕校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과원동·금계동에 있는 조선시대 나주목의 객사와 내아 등의 관청.향교. 사적. 사적 제483호. 나주목 관아는 나주읍성(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73호) 안에 있으며 나주 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128호)는 나주객사의 서쪽 약 500m 지점에 있다.

  • 나주목읍지 / 羅州牧邑誌 [지리/인문지리]

    나주목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16년에 편찬한 지방지. 『나주목읍지』는 총 44개 항목으로 구성된 전라도 나주목의 지리지로, 1816년(순조 16)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편찬과 발간 경위는 알 수 없다. 항목은 건치연혁을 비롯해서 군명(

  • 나주미천서원 / 羅州眉泉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있는 서원. 1690년(숙종 16) 지방유림의 공의로 허목(許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3년 ‘眉泉(미천)’이라는 사액되었으며, 이 서원은 1724년(경종 4)에 훼철되었다가, 1771년(영조 47)에 사

  • 나주반 / 羅州盤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나주지방에서 만든 소반. 대개 장방형·다각형으로서 각의 모서리가 원형으로 부드럽게 꺾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두리의 전은 따로 파서 물리어 붙였는데, 보통 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다.소반의 밑면에는 운각(雲脚)이라는 테가 있어 투각되었거나 또는 조각장식이 붙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