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여광주 / 呂光周 [종교·철학/유학]
1666년(현종 7)∼1714년(숙종 40) 6월 15일.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여이징, 조부는 여성제이다. 부친은 여필승, 모친은 이민급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사축서별제에 임용을 시작으로 1705년(숙종 31)에 이르기까지 진안현감·전주판관 등을 역
여름성경학교 / 여름聖經學校 [종교·철학/개신교]
하계휴가를 이용하여 개설하는 성경학교. 1901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1916년이후 동양에 파급되었다. 한국은 1922년 정동제일감리교회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1923년 서울 YMCA는 <아동성경학회>를 개회하였다. 1924년 3월 조선주일학교 연합회내에 아동성경학교
여성제 / 呂聖齊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순원 증손, 할아버지는 우길, 아버지는 이량, 어머니는 한효순의 딸이다. 이징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가 한백겸의 문인으로 영향을 받았고, 인조비인 인열왕후의 아버지 한준겸의 외손자로서 국척 관계에 있었다
여와집 / 餘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목만중의 시문집. 18권 9책. 필사본. 권1∼3에 서 76편, 권4에 기 32편, 권5에 발 7편, 제 12편, 권6에 소 11편, 권7에 서 12편, 권8에 비갈 8편, 권9에 묘갈명 16편, 권10에 가정기실 6편, 권11에 묘지명 16편, 권1
여우길 / 呂祐吉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세침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순원,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병조정랑, 평안도안무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여유당전서 / 與猶堂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 154권 76책. 활자본. 1934∼1938년에 걸쳐 신조선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책의 편자는 외현손 김성진, 정인보와 안재홍이 교열에 참여하였다. 제1집은 25권 12책으로 시문집, 제2집은 48권 24책으로 경집,
연곡유집 / 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권성익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권정섭의 증조부인 소헌 권인하와 종숙부 질암 권경모가 편집한 뒤에, 권정섭의 아버지인 긍재가 몇 사람에게 교정을 청하여 2책으로 정리했고, 권정섭이 이를 석인으로 간행하였다.
연단술 / 燃丹術 [종교·철학/도교]
불로장생의 약인 단을 만드는 기술. 연단술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금속을 이용해서 불로장생의 약을 구하려는 기술이다. 연단술은 중국에서 발달하였다. 연단술은 내단과 외단으로 나누인다. 진나라 갈홍의 <포박자>가 외단법의 고전이다. 위백양의 <주역참동계>가 내단법의 대표적
연등회 / 燃燈會 [종교·철학/불교]
불교의례 가운데 하나. 등공양을 주요 의례절차로 한다. 등은 어두운 무명을 제거하여 지혜의 밝은 광명을 비추고자 하는 하는 염원을 나타낸다. 특히 <법화경> 약왕보사살본사품에는 등공양의 공덕이 무량하고 위대함을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등회는 신라시대부터 열렸을 것으로
연려실기술 / 燃藜室記述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찬술한 조선시대의 사서. 필사본. 1913년 일본인 주관의 조선고서간행회 인본의 대본, 다른 하나는 1911년최남선이 주관한 광문회 인본의 대본이다. 전자는 원집 33권(태조∼현종), 속집 7권(숙종), 별집 19권, 합 59권, 후자는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