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강재유고 / 剛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정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1년(철종 2) 김정현의 재종질 김제면(金濟冕) 등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자서가 있고, 권말에 김제면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13권 6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 강재집 / 剛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치규의 시문집. 15권 7책. 필사본. 1865년(고종 2) 그의 장손 송기수가 간행, 권말에 편간 경위를 적은 송기수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49수, 소 31편, 권2는 소 15편, 서계 20편, 헌의 12편, 권3·4는 서 138편, 권5는

  • 강좌문집 / 江左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권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1800년(정조 24) 증손인 신도(信度)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으나, 발문은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 강좌여지기 / 江左輿地記 [문학/한문학]

    1884년(고종 21)김광훈(金光勳)과 신선욱(申先郁)이 지은 적정(敵情) 탐사보고서. 이 책은 『아국여지도』와 자매편으로 『아국여지도』를 편찬, 저술하기 위하여 여행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좌여지기』는 2부로 되어 있다. 1부는 「강좌여지기」이고 2부는

  • 강준흠 / 姜浚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서예가(1768∼1833). 서예가. 1813년에 수안군수로 있을 때 군적의 폐단을 논하고 새로운 화폐의 주조를 건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벽파의 일원으로 1801년 윤행임의 축출에 앞장섰으며, 1813년 정약용의 석방을 반대하였다. 또, 남

  • 강진 백련사 사적비 / 康津白蓮寺事蹟碑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사적비.보물. 보물 제1396호. 전체 높이 400㎝, 귀부 높이 110㎝, 비신 높이 233㎝, 너비 118㎝, 두께 29㎝. 귀부(龜趺)·이수(螭首)·비신(碑身)을 모두 갖춘 완형으로 비명은 ‘전라도강진만덕산

  • 강찬 / 姜𧄽 [종교·철학/유학]

    1849년(헌종 15)∼미상. 조선 고종 때의 문신. 세황 5세손, 기 손자, 준수의 아들이다. 1871년(고종 8) 정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871년 홍문관부교리와 수찬을 거쳐 1872년에는 규장각직각이 되었다. 1883년 이후에는 예조참의·이조참의, 우

  • 강천각소하록 / 江天閣銷夏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심익운(沈翼雲)이 여러 사람의 글을 모아 엮은 잡록(雜錄). 1책(47장). 한문필사본. 편찬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현재거사묘지(玄齋居士墓志)」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심사정(沈師正)이 죽은 뒤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자가 묘지·제문·시·서(書)

  • 강초유고 / 江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구연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924년 그의 후손인 창서(菖書)·달서(達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서찬규(徐贊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서석종(徐錫宗)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 강촌별곡 / 江村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차천로(車天輅)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은거자의 한적한 생활을 노래한 가사이다. 『고금가곡』과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 차천로의 작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김천택(金天澤)의 『청구영언』이나 필사본의 『악부(樂府)』·『가집(歌集)』에는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