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 / 乾鳳寺及乾鳳寺末寺事蹟 [종교·철학/불교]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한용운이 건봉사와 부속말사에 관한 자료를 수록하여 1928년에 간행한 사적기.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事蹟)』은 1878년(고종 15)의 건봉사 화재로 인해서 사찰 자료가 소실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사적기이다
건양 / 建陽 [역사/근대사]
1896년부터 1897년 8월까지 사용되었던 조선시대 최초의 연호. 건양 연호는 광무(光武) 연호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 이후 김홍집내각은 일련의 관제개혁을 추진하면서 11월 15일에 칙명으로 개국 505년부터 일세일원의 원칙에 입각하여 연호를 세우기
건원절 / 乾元節 [역사/근대사]
조선조 최후의 왕인 순종의 탄생일. 1907년 헤이그특사사건으로 인한 일본의 압력과 이완용 등의 강요로 고종이 양위하자, 고종의 둘째 아들인 순종이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인 1907년 8월 궁내부대신 이윤용이 황제폐하탄신경절을 건원절로 개칭하자고 상주하여 실시되었다.
건칠반 / 乾漆盤 [예술·체육/공예]
공예가 강창규(姜昌奎, 1906-1977)가 1933년에 제작한 건칠(乾漆) 작품. 등록문화재 제451호. 우리나라 최초로 일본의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지금의 도쿄예술대학교) 공예분야에서 유학한 강창규의 건칠 작품이다. 「건칠반」은 도쿄미술학교 졸업을 위해 193
건칠화병 / 乾漆花甁 [예술·체육/공예]
건칠(乾漆)공예가 강창규(姜昌奎)가 만든 건칠화병(乾漆花甁). 높이 42.5㎝, 최대 동체 지름 29㎝. 목심(木心)을 사용하지 않고, 삼베와 골회로 형태를 만든 건칠화병이다. 배가 볼록하고 목이 가늘어 양감이 느껴지는 형태이다. 모시나 삼베를 심으로 하여 칠을 입히는
검사와여선생 / 檢事─女先生 [예술·체육/연극]
1936년 김춘광(金春光)이 쓴 신파희곡. 1936년 김춘광(金春光)이 쓴 신파희곡. 4막 5장이며, 처음에는 <검사와 사형수>로 발표되었다가 나중에 제목이 바뀌었다. 임선규(林仙圭)의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라든가, 이서구(李瑞求)의 <어머니의 힘> 등과 함께 신파
검산성 / 劒山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상청리에 있는 성곽. 경상북도 기념물 제65호. 한말의 의병장이었던 김도현이 1894년경에 항일운동의 거점으로 삼기 위하여 그의 고향마을 뒷산에다 개인 재산을 들여 축조한 산성이다. 지금은 대부분 무너져서 그 규모나 축조수법을 알 수 없지만, 개
검온기 / 檢溫器 [과학기술/의약학]
체온을 재는 데 쓰도록 만든 온도계이다.
검제 / 檢題 [역사/근대사]
1873년 충청감영에서 도내 살인사건의 검험(檢驗)에 대한 관찰사의 제사(題辭)를 모아 엮은 관찬서. 시체검안기록. 1책 57장. 필사본. 1873년(고종 10)에 편집되었으며 충청감영에서 엮은 것으로 보인다.내용은 충청도내의 치사사건·낙태사건·자살사건·독살사건 등 5
검찰 / 檢察 [정치·법제/법제·행정]
범죄수사를 통한 형벌권 행사 및 법원의 판단에 의하여 구체화된 형벌권의 내용실현을 지휘, 감독하는 국가권력작용. 우리나라에 근대적 사법제도가 도입된 것은 1894년 갑오개혁 이후이다. 1895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사법 및 검찰제도의 효시가 되는 '재판소구성법'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