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공주주미사지 / 公州舟尾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8호. 지정면적 4,552㎡. 이 사지는 주미산의 남측 사면에 해당되는 곳이데, 주미산은 고어로 ‘즈믄산’으로, 지명 고증에 의하면 ‘천산(千山)’이라 할 수 있다.이 천산에 대하여는
공주풍토기 / 孔州風土記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 홍양호(洪良浩)가 지은 일종의 지리지(地理誌). ≪북새기략 北塞記略≫ 첫머리에 실려 있다. ≪북새기략≫은 저자 자신이 경흥부사의 직분을 역임하면서 얻은 생생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이 지방의 풍물을 적은 것으로, 당대의 동북방 국경지대 사적을 밝힌 귀중한 문헌이
공주하봉리유적 / 公州下鳳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산1번지 일대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분묘 유적. 조사된 유구는 주구움무덤 8기, 움무덤 5기, 독널무덤 4기, 도랑유구 1기, 소형 구덩이유구 5기 등이며, 무덤들은 야트막한 구릉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성되었다. 무덤은 형태상 널무덤〔木
공주학봉리요지 / 公州鶴峰里窯址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철회분청사기와 백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33호. 계룡산 요지 가운데 가장 중심되는 곳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라 5악 중 서악(西嶽)으로 불리던 영산(靈山)으로, 이곳의 동쪽 산기슭 일대에는 고려시대 말에
공주향교 / 公州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에 있는 향교.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초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원래 웅진동 숭산 기슭에 있던 것을 1623년 순찰사 신감(申鑑)과 목사 송흥주(宋興周)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
공직랑 / 供職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잡직계 정6품 상계의 위호. 동반잡직계의 최고위계였다. 1430년(세종 12) 처음으로 잡직이 설치되었고 1444년 서반 잡직계가 마련되었으나, 동반잡직계는 세조 때의 관제개혁 과정에서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공진소 / 供進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어공과 사전 거행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던 임시기관. 1907년 2월 궁내부 안에 설치되었다. 통감부 설치 이후 일제에 의한 황실재산의 침탈이 본격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기관이다. 공진소는 수진궁 내에 있었고 각궁 사무정리소와 관계를 가지고 운영되었다. 19
공진원 / 公震遠 [역사/근대사]
1907-1943. 독립운동가. 일명 고운기(高雲起). 호는 학은(鶴隱). 창준(昌俊)의 아들이다. 중국 하얼빈(哈爾濱)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북만주로 가서 청년운동과 교육사업에 주력하였다. 1930년 7월에 결성된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고, 이 당에서 조직한 한국독립
공진창 / 貢津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충청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설치하였던 조선시대의 조창. 처음에는 '공세관창'으로 불리다가 1523년(중종 18) 비로소 80칸의 창사를 마련하고 창고의 명칭을 공진창이라 하였다.
공진회 / 共進會 [문학/현대문학]
안국선(安國善)의 단편소설집. 1915년 8월 작가에 의하여 자택에서 출판되었다. 이 작품집 속에는 「기생(妓生)」·「인력거군(人力車軍)」·「시골노인이야기[地方老人談話]」 등 세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작품 말미에 붙인 글에서, 「탐정순사(探偵巡査)」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