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공주가척리석탑 / 公州加尺里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청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8호. 높이 196㎝. 부근에는 작은 불당과 부도(浮屠)의 지대석(地臺石), 석종형부도(石鍾形浮屠)의 탑신부와 와편 등이 널려 있다.석탑은 현재 4층 탑신까지 있으나 원래는
공주고등학교 / 公州高等學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공주시 중학동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1922년 4월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로 설립되었다. 기존의 도내 학교들은 일본인을 위한 것이거나 2년제 실업학교임에 반하여, 공주고등보통학교는 한국인 학생을 위한 충청도 최초의 인문계 중등학교라 할 수 있다. 설립 당시 충청도
공주공산성 / 公州公山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산성. 사적. 금강변 야산의 능선과 계곡을 둘러 쌓은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동쪽과 서쪽에 보조산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원래 흙으로 쌓은 것을 임진왜란 직후에 돌로 다시 고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진
공주공산성연지 / 公州公山城蓮池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영은사 관련 연못.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길이 21m, 너비 15.3m, 깊이 7.7m, 넓이 1,164㎡. 이 연지는 공산성 안의 남쪽 영은사(靈隱寺) 앞에 자리하고 있다.연지 안의 석축은 단을 두어 쌓았으며,
공주구룡사지 / 公州九龍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고려시대 유물과 유적이 출토된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9호. 지정면적 10,599㎡. 이 사지는 사역으로 추정되는 범위에 당간지주뿐만 아니라 사찰 관련 건물의 유구가 도처에 산재되어 있어 1990년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공주남혈사지 / 公州南穴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로 추정되는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5호. 지정면적 2,916㎡. 절터에는 본래 있던 탑지(塔址) 등의 흔적이 민간 묘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사라졌고, 이후 절터에 대한 구체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사역(寺域)의
공주대교 / 公州大橋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공주시 옥룡동과 신관동을 연결하는 다리. 너비 22m, 길이 480m로 1986년 준공되었다. 이 다리는 4경간 연속 PSC 박스거더(box girder)교로서 지보공방식(支保工方式, staging method)에 의하여 시공되었다. 하부구조의 교대(橋臺)부분
공주대학교 / 公州大學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교. 공주캠퍼스는 공주시 신관동에, 예산캠퍼스는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에 위치해 있다. 1948년 충남도립사범대학으로 설립인가 되었다. 1980년 교육대학원이 인가되었으며, 1990년 3월 공주사범대학에서 공주대학으로 개편되었고,
공주마암리유적 / 公州馬巖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 금강 남안, 계룡산 북쪽 산줄기 사면에 있다. 1966년 10월 서울대학교김원룡(金元龍) 교수 등이 시굴하여 석영반암(石英斑岩)으로 만든 석기들의 채집이 보고되었다. 동굴은 높이 200m 가량의 위치에서 입
공주산의리유적 / 公州山儀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분묘와 백제시대의 각종 고분이 혼재하는 복합유적. 공주 산의리유적은 남북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능선의 남향과 남서향사면 일대에 분포한다. 1998년도의 조사지역은 능선의 선상부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청동기시대 주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