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이행 / 李荇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창녕 성씨이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 예문관 검열·봉교, 성균관전적을 역임,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

  • 이행법 / 移行法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중간에 행을 바꾼 경우에 중단된 행의 마지막에 표시하는 방법.

  • 이현보 / 李賢輔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흠이다. 홍귀달의 문인이다. 1498년(연산군 4)식년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1504년(연산군 10)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됐다. 이때에 서연관의 비행

  • 이홍준 / 李弘準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부친은 이시민, 형은 이종준이다. 1486년(성종 17) 진사시에 합격, 후진교육에 힘썼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나 중형이 화를 당한 후 가족과 함께 영천의 두암에 은거하였다. 1652년(효종 3) 백록리사에 제향되었다. 저술로 그의 형

  • 이황 / 李滉 [종교·철학/유학]

    1501-1570. 조선 중종대의 유학자. 1534년부터 벼슬길에 들어섰으나 대부분의 임명을 신병이나 노쇠, 재질부족 등의 이유를 들어사퇴하였다. 59세때 기대승과 사칠논변을 벌였고 68세때 <성학십도>를 지었다. 그는 성리학을 한국적으로 체계화시킴으로써 이후의 조선

  • 이효독 / 李孝篤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백찬 증손, 할아버지는 승충, 아버지는 봉손, 어머니는 홍이용의 딸이다. 148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학유, 예문관검열·승정원주서를 거쳐, 세자시강원사서·병조좌랑·사헌부지평·호조정랑·병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이효장 / 李孝長 [종교·철학/유학]

    ?∼1463(세조 9).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정간, 아버지는 사관, 어머니는 한상경의 딸이다. 아버지의 음덕으로 벼슬길에 올라, 1447년(세종 29) 오위사용으로서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예문관대교, 이조참의, 호조참의,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익대공신 / 翊戴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468년(예종 즉위년)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에 유자광·신숙주·한명회·신운·한계순 등 5명으로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이 내려지고, 2등은 밀성군 침·덕원군 서·영순군 보·구성군 준·심회·박원

  • 익례 / 翊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종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국가의 의식을 관장하였다. ≪경국대전≫ 직제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나, 그뒤 증치된 것이다.

  • 익선 / 翊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종4품 관직. 좌·우 각 1인씩이 있었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강서원의 4인을 홍문관 관원이 겸직하여 매 1인이 입직시강하였으나 뒤에는 좌익선을 실직으로 삼아 시종하게 하였다. 인조대에는 세자보양관의 예에 따라 겸직하였으며, 그 순차는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