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공주 계룡산 중악단 / 公州鷄龍山中嶽壇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新元寺)에 있는 조선시대 계룡산 산신에게 제를 올리기 위해 건립된 산신각.단묘·제사터. 보물.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壇)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에 위치한 신원사 대웅전 뒤편에 자리잡은 산신각으로, 일명 중악전(中嶽殿) 또는 계룡단(鷄龍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公州麻谷寺大光寶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재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2호. 대광보전은 뒤편에 위치한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중심 불전이다. 1782년 발생한 대화재로 불타버렸지만 1785년 재건되었다. 재건 내용은 내부에 걸려 있는 「충청우도공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 公州麻谷寺大雄寶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후기 중층으로 조성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1호. 마곡사 대웅보전은 내부에 걸려있는 「강희구년경술육월초일일공산지화산마곡사이층대장전단청기(康熙九年庚戌六月初一日公山地華山麻谷寺二層大藏殿丹靑記)」에 의하면 건립 당시 대장전

  • 공주 마곡사 영산전 / 公州麻谷寺靈山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0호.「태화산마곡사천불전중수문(泰華山麻谷寺千佛殿重修文)」에 의하면 1682년에 건립하여 1842년에 중수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태화산마곡사사적입안(泰華山麻谷寺事蹟立案)」에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 公州麻谷寺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보물. 높이 8.4m. 보물 제799호. 일명 다보탑(多寶塔)이라 한다. 기단부는 이중으로 지대석(地臺石)과 하대 저석(低石)·중석(中石)·갑석(甲石)을 높게 쌓고 상대 중석에는 탱주(撑柱)와 우

  • 공주 반죽동 당간지주 / 公州班竹洞幢竿支柱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당간지주. 보물. 보물 제150호. 높이 3.29m.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으며,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지주가 위치한 곳은 백제시대에 건립된 대통사(大通寺)터라고 전한다.안쪽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지만, 바

  • 공주 석장리 유적 / 公州 石莊里 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석장리, 장암리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 사적 제334호. 유적은 1964년 5월 큰물이 지나간 뒤 무너진 강가 언덕에서 확인되었으며, 바다높이보다 14.7m 높은 곳에 위치해 있었다. 발굴조사는 1964년 11월 22일에 시작하여 해마다 한두

  • 공주 중동 석조 / 公州中洞石槽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백제의 석조.보물. 보물 제148호. 지름 1.34m, 높이 0.72m. 돌로 만든 물그릇으로, 원래 공주시 반죽동 대통사(大通寺)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다. 곧 이 석조는 일제강점기에 공주시

  •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 公州淸凉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청량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284호. 높이 4.9m. 석탑은 계룡산 삼불봉 오른쪽의 해발 590m 쯤되는 능선에 자리한 절터에 서 있다. 이 절터에서는 ‘청량사(淸凉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막새 기와가 발견되어청량사

  • 공주 청량사지 칠층석탑 / 公州淸凉寺址七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청량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보물. 높이 6.9m. 보물 제1285호. 이 칠층석탑과 바로 뒤쪽에 서 있는 청량사지오층석탑(보물 제1284호)은 속칭 계룡산남매탑(오뉘탑)이라 불리고 있다. 석탑은 단층기단 위에 7층의 탑신부를 형성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