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이정기 / 李廷機 [종교·철학/유학]

    1613(광해군 5)∼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여해 증손, 할아버지는 광준, 아버지는 민환, 어머니는 홍구상의 딸이다. 좌승지 민성에게 입양되었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지내다가, 1648년(인조 26)

  • 이정기 / 李貞基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45년. 일제 강점기 성리학자. 이총언의 후예, 부친은 이원하이다. 장복추·김흥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에 대한 소식을 듣고, 일본의 침략을 배척하는〈양이설〉을 저술하여 영남유림의 경각심을 고취시켰다. 저서로《벽

  • 이정로 / 李正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8∼1923). 을미사변 때 폐비에 관계된 자들을 다스릴 것을 상소하였다.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환궁할 것을 상소하였다. 중추원1등의관·봉상사제조·경효전제조 등 궁내부 각 아문의 장을 지냈다. 일제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

  • 이정병 / 李鼎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4). 통례원상례가 되어 동궁의 입학을 주관하였다. 병조참지·동부승지·우승지를 지냈다. 풍천부사가 되어 환곡 만석을 경감 조치하였다. 돈령부도정이 되고,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올랐다. 저서로《금파문집》이 있다.

  • 이정보 / 李鼎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3∼1766). 173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수원부사·도승지·이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지평에 재임 중 시무십일조를 상소하는 등 여러 번 탕평책을 반대하다 면책받았다. 1762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 이정소 / 李廷熽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상휴이다. 1696년(숙종 22) 진사, 1714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 노론으로서 지평·정언에 이르렀다. 소론파의 유봉휘 등은 시기상조론의 항소와 그 뒤 김일경 등의 노론 4대신을 4흉으로 공격

  • 이정암 / 李廷馣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600(선조 33). 조선 중기의 문신. 거 증손, 할아버지는 달존, 아버지는 탕, 어머니는 김응진의 딸이다. 이조참판 정형의 형이다.1561년(명종 1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연안부사, 공조참의, 충청도관찬사 등을 역임

  • 이정운 / 李鼎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3∼1801). 검열·정언·지평 등을 거쳐 홍충도 암행어사가 되고, 1784년 서장관으로서 사은사 박명원 등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승지 등을 지내다가 한때 안치되었고, 충청도관찰사·함경도관찰사·형조판서가 되었다. 문명이 뛰어났다.

  • 이정익 / 李鼎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3∼1826). 1804년 진사시 합격하였다.《주서절요》·《심경》등의 책을 깊이 연구하였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경주부윤 이덕현이 그와 상의하여 향약을 정하였다. 문집으로《감화문집》이 있다.

  • 이정직 / 李定稷 [종교·철학/유학]

    1841-1910. 한말의 유학자. 1869년 청나라에 가서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양계초의 <음빙실문집>에 근거하여 칸트와 베이컨의 서양철학을 소개하고 그것을 유학사상과 비교하였다. 실학자로서 1900년대를 전후하여 조선 최초로 서양철학을 도입하여 성리학과의 접목을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