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이지함 / 李之函 [종교·철학/유학]

    1517-1578. 조선 선조대 유학자. 서경덕에게서도 배웠다. 평생 학문에 전념하다가 1573년 포천과 아산의 현감을 지냈다. 당시 걸인청을 만들어 빈민구호에 노력하였다. 경사자전과 복서, 천문, 지리, 음양 등 제가잡술에 능통하였다. 특히 상수학에 정통하였다. <

  • 이창신 / 李昌臣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 조선 전기의 문신. 사흠 증손, 할아버지는 순, 아버지는 양, 어머니는 조혜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수찬, 교리, 경연시독관, 공조참의, 예조참의, 형조참의, 동지중추부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15

  • 이천향교 / 利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안흥사(安興寺)에서 지도하던 생도를 이곳으로 옮겨 학문하게 하고, 석전례(釋奠禮)를 베풀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5칸의

  • 이철견 / 李鐵堅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무신. 원보 증손, 할아버지는 승, 아버지는 연손, 어머니는 윤번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의 동생이다. 한성부판관, 훈련원도정, 평안도절도사,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도총관 등을 역임하였다.1493년에 척신으로

  • 이체자 / 異體字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초성 17자 가운데, “체(體)를 달리하여 후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ㆁ’,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지만 가획의 의미가 없는 ‘ㄹ, ㅿ’을 아울러 일컫는 말.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이 세 글자도 기본자에 가획하여 만들었으나 ‘가획의

  • 이총 / 李摠 [역사/조선시대사]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종실. 태종의 증손, 아버지는 이종이다. 이종은 이정의 양자로 들어가 대를 이었으며, 생부는 근녕군 이농이다. 이총의 첫째 부인으로 평양조씨, 둘째 부인으로 의령남씨가 있는데, 의령남씨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딸이다. 김

  • 이충무공진적 / 李忠武公眞蹟 [언론·출판]

    저자 이순신(1545-1598). 필사본. 책의 구성은 절첩장 6장 13절이다. 이 서첩은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통영에 있을 때 수도하는 자세로 적은 글을 이가원이 편집하여 만든 것이다. 1장은 '가이규득성장심법 병인국유황화일 기가원경제'라고 썼다. 2장에는 8개 수

  • 이칙 / 李則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강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질, 어머니는 정지당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장흥고직장, 병조좌랑, 이조정랑, 승정원동부승지, 좌우부승지, 이조참판, 충청도관찰사,

  • 이평 / 李枰 [종교·철학/유학]

    ?∼? 조선 전기의 문신. 계을 증손, 할아버지는 신, 아버지는 구관, 희순의 아버지이다. 일찍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충청도병마절도사, 병조참지, 강릉대도호부사, 대사간 등을 역힘하였다.

  • 이항 / 李恒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이자영, 어머니는 최인우의 딸이다. 박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백인걸은 이항의 학문이 조식에게 비길만하다고 칭찬하였다. 당시의 대학자인 기대승·김인후·노수신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의 질을 높였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