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윤희구 / 尹喜求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67∼1926). 유학의 아홉 가지 경서와 제자의 글과 역사책까지 두루 섭렵한 한문학자이다. 장지연과 함께 《대한예전》 편찬에 참여했고, 참상에 올라《증보문헌비고》를 증수했으며,《양조보감》을 편찬했다. 장지연·오세창과 함께 《대동시선》을 교열했다.
율구미 / 栗九美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 어귀에 있었던 옛 지명. 1900년 러시아가 이 곳에 극동함대의 석탄저장소와 해군병원을 건설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 정부로부터 조차(租借)하기로 협약이 되었으나 1년 만에 일본의 항의로 취소되었다. 이 곳은 조선시대에 마산창(馬山倉)을 위
융희 / 隆熙 [역사/근대사]
1907년부터 사용된 대한제국의 마지막 연호.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의 즉위로 연호가 광무에서 융희로 바뀌어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사용되었다. 헤이그특사사건 이후 일제에 의해 강제로 순종에게 양위되면서, 1907년 8월 12일 새 연호가 선포되고 순종의 융희황
은사가 / 隱士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지은이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작품내용으로 보아 경술국치(1910년) 이후라 할 수 있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89구이며, 3·4조와 4·4조로 되어 있다. 작자는 조선왕조와 그 문물을 숭상하던 선비로서 경술국치를 당하자 산으로 피난한
은산광산 / 殷山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숭산리에 있는 금·은 광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숭아산이 숭화산(崇化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산의 봉우리에 아난굴(阿難窟)이라는 석굴이 있으며, 이 굴 안에 큰 못이 있고, 이 못에서 흘러내리는 물에 사금(砂金)이 섞여 흘러내렸다고 기록되
은세계 / 銀世界 [예술·체육/연극]
1908년 간행된 국초 이인직의 정치색이 짙은 친일개화소설이며, 신소설로서는 가장 먼저 무대에 올려진 작품. 1908년 11월 15일 원각사에서 당대의 명창 이동백, 강용환 등에 의해 상연되었다. 이 공연을 신극의 출발점이라고 보는 설과 신극이 아니라 단순히 구극의 일
은율광산 / 殷栗鑛山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은율군 북부면과 이도면에 걸쳐 있는 철광산. 은율의 북쪽 8㎞ 가량의 해안 가까이에 있는데 북부면 금산포(金山浦)와 이도면 고현리에서 서해리에 이르는 13㎞ 길이에 걸쳐 있다. 철광의 품위는 55∼58%로 부광을 이루며, 지표 가까이에 부존하고 있으므로 노천굴(
은행 / 銀行 [경제·산업/경제]
예금을 맡기거나, 대부·어음할인 및 증권의 인수 등을 업무로 하는 금융기관. 우리 나라에 근대적 은행제도가 도입된 것은 1878년 일본의 제일은행이 부산에 지점을 개설하면서부터이며, 이에 자극을 받아 국내에서도 민족자본에 의한 은행의 설립이 추진되었다. 1897년의 한
은행나무 밑 / 은행나무 밑 [예술·체육/연극]
1927년 <신민> 6월호에 발표된 이경손의 단막희곡으로 농촌과 토속 신앙을 배경으로 완고한 부모와 젊은 연인들 사이의 갈등을 그린 작품.
을미개혁 / 乙未改革 [역사/근대사]
1895년 명성왕후 시해사건 이후 김홍집 내각이 추진한 근대적 개혁운동. 제3차 갑오개혁을 을미개혁이라고 한다. 을미개혁은 시기적으로 명성왕후 시해사건이 일어난 직후에 국민의 반일감정이 극도에 이른 상황에서 강행된 것이었다. 따라서 개혁에 대한 국민의 저항은 높을 수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