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도장 / 導掌 [역사]

    조선 후기 궁방전을 관리하고 조세를 거두는 사무를 담당한 궁방의 청부인. 조선 후기 각사의 장토(庄土)는 궁방이 직접 그 직원을 파견하는 곳도 있었으나 청부인에게 그 수세 또는 운영권을 위임하는 곳도 있었다. 도장이 그 기능을 다하려면 궁방으로부터 임명장인 도서첩문이

  • 도정 / 都定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소작료 산정 및 징수방법. 매년 작황을 조사하여 일정액의 소작료를 산정하던 방법으로, 주로 궁방전의 소작지에서 행하여졌다. 이는 조선 후기에 정액지대인 도조법(都租法)이 행해지면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 도정서원 / 道正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도정리에 있었던 서원. 1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탁(鄭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6년(정조 10)에 정윤목(鄭允穆)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

  • 도지권 / 賭地權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17세기경부터 농민들이 농민적 토지소유를 성립시켜 나가면서 획득한 소작지에서의 부분소유권. 도지권 성립의 배경은 신분제도의 붕괴과정에서 소작농의 지위향상과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지주와 소작인의 경제적 계약관계의 형성을 들 수 있다. 도지권은 전국 각지에

  • 도포 / 道袍 [생활/의생활]

    선비들이 평상시에 입던 겉옷. 조선 중기 이후 많이 착용하였으며, 관리들도 관청에 나아갈 때를 제외하고 사사로이 외출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착용하였다. 도포의 기원에 대하여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도교나 불교에서 나온 것으로, 원래는 승려의 권투(圈套)로

  • 도포서원 / 道浦書院 [교육]

    강원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신흠(申欽)·김경직(金敬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

  • 도해가 / 渡海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조희백(趙熙百)이 지은 기행가사. 내용은 4단으로 짜여 있다. 기사(起詞)에서는 함라태수(咸羅泰守)에 제수되어 임지에 부임하여 집무하는 사실을 노래하였으며, 승사(承詞)에서는 팔읍봉세(八邑捧稅)의 세곡 조운을 위하여 서울로 향하여 출발하는 사실을 담았다.

  • 독락당 / 獨樂堂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노계집 蘆溪集≫ 권3에 실려 있다.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123행으로, 박인로가 지은 가사 가운데 최장편이다. 주제는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서

  • 독락팔곡 / 獨樂八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제목에는 8곡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7곡만이 작자의 문집인 『송암별집 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경기체가 가운데 가장 마지막 작품이어서 주목된다. 1860년(철종 11)에 민규(閔圭)가 지었다는

  • 독서기 / 讀書記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성리학자 윤휴가 지은 책. 총 11권. 이 책은 <백호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의 주희의 학설을 과감히 배격하고 새롭게 유교 경전들을 주해한 책이다. 정통 성리학자들은 이 책을 이단으로 배척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용>과 <대학>에 대한 윤휴의 해석은 주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