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이의무 / 李宜茂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07(중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양 증손, 할아버지는 명신, 아버지는 추, 어머니는 윤회의 딸이다. 1477년(성종 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 홍문관응교, 사헌부지평, 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510년 예조참판에 추

  • 이의윤 / 李宜潤 [종교·철학/유학]

    1564년(명종 19)∼1597년(선조 30). 조부는 이언적, 부친은 이응인이다. 일찍이 한강 정구의 문인이 되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독서와 효행을 독실히 행하다가 34세에 요절하였다. 사림에서 그를 추도하여 사원을 세웠고 저술로『무첨당선생문집』이 있다.

  • 이이 / 李珥 [종교·철학/유학]

    1536-1584. 조선 중기의 유학자. 1554년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고 1년 뒤 하산하여 다시 유학에 전념하였다. 1558년 이황을 만났다. 과거에 여러 번 장원급제했고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에 10만 양병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 이자 / 李耔 [종교·철학/유학]

    1480(성종 11)∼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색의 후손, 이예견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 150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해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이조좌랑, 의성현령을 역임하였다. 1519년

  • 이잠 / 李潛 [역사/조선시대사]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보 7대손, 태빈의 아들이다. 무과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 정철의 막료로 있었는데, 적개의병장 변사정이 그의 현명함을 듣고 청하자 부장이 되었다. 신상필벌을 강화하고 사졸과 고

  • 이장곤 / 李長坤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신지 증손, 할아버지는 호겸, 아버지는 승언, 어머니는 이래의 딸이다.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95년(연산군 1)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 1502년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1532년에 이장(李璋)이 조정의 신하들을 비방하여 지은 시가 작품. 『중종실록』 권74, ‘28년 3월’ 기사 등에 실린 「이장장가」는 다음과 같다(기사별로 표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괄호 속은 차자표기를 성호경이 당시의 한국어로 옮긴 것임). “鄭光弼 細筆奴(

  • 이정혐 / 李廷馦 [종교·철학/유학]

    1562년(명종 17)∼미상. 증조부는 이거, 조부는 이달준, 부친은 이탕이다. 1588년(선조 21) 무자 식년시 진사 3등 3위로 합격하였고, 1594년(선조 27) 갑오 별시 병과 6위로 합격하였다. 벼슬은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이조 / 吏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조선시대 문선·훈봉·고과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육조의 하나이다. 조선시대에는 1392년(태조 1) 문선·훈봉·고과 등에 관한 일을 맡도록 규정되었는데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확정되었다. 그러나 실제 기능은 왕권이나 여러 정치기구와의 역학관계로 강약

  • 이족촌 / 吏族村 [사회/촌락]

    조선시대의 중인인 향리·서리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 이족은 지위의 세습 여부에 따라 그 지방출신으로 아전을 대대로 맡는 향리와 다른 지방에 와서 임시로 근무하는 가리(假吏)로 구분할 수 있다. 이족촌은 전자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을 가리킨다. 이 마을은 중앙과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