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이연서원 / 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암리에 있었던 서원.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이연(伊淵)’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

  • 이염 / 李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암 후손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하항·유종지 등 동인들과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대학』의「성의장」은 몸소 실천하여 체득하려 노력하였으며, 실제로 효우가 지극하여 부모를 섬김과 형제를 사랑

  • 이예 / 李藝 [종교·철학/유학]

    1373(공민왕 22)∼1445(세종27).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왜적에게 잡혀간 지울산군사 이은 등을 시종한 공으로 아전의 역에서 면제되고 벼슬을 받았다. 회례부사, 통신부사, 첨지중추원사, 동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학파실기』가 있다

  • 이원록 / 李元祿 [종교·철학/유학]

    1514(중종 9)∼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추의 증손, 할아버지는 의무, 아버지는 행, 어머니는 이조의 딸이다. 이조정랑으로 재직 중 을사사화가 일어나 많은 사림이 화를 입자,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를 비판하고 이황·정황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하였다.

  • 이원익선생영정 / 李元翼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원익의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이원익은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른 후 1573년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1575년 이후 정언(正言)·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1

  • 이원향교 / 利原鄕校 [교육]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438년(세종 2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향선동에서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599년(선조 32)에 유생 김사영(金士詠)·강탁(姜濯)·강윤조(姜胤祖) 등이 동재

  • 이유일 / 李惟一 [종교·철학/유학]

    1577년(선조 10)∼미상. 증조부는 이징, 조부는 이척, 부친은 이구익이다. 1601년(선조 34) 신축 생원시에 급제, 1615년(광해군 7) 을묘 알성시 병과 1위로 문과에 급제했다. 인조반정 후에 전랑, 교리가 되었다. 수북 김광현, 창주 윤지경 등과 교우하였

  • 이을규 / 李乙奎 [종교·철학/유학]

    1508∼1545. 조선 중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구산, 아버지는 한주, 어머니는 조계량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고, 1535년에 문과별시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좌랑을 거쳐 승문원교리에 이르렀다. 1537년(중종 30)에 사은사 겸

  • 이응 / 李膺 [종교·철학/유학]

    1365(공민왕 14)∼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희충이다.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 1400년(정종 2) 방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영양군에 봉작되었다. 좌부대

  • 이응종 / 李應鍾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유학자‧의병장. 완풍대군의 8세손이다. 윤교형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는 생원으로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나 붕당의 조짐을 보고 귀향하였다. 예학을 연구하여『가례부기』를 저술하였다. 임진왜란시 호남 의병에 가담하여 광주의 의병 진영에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