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이연서원 / 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암리에 있었던 서원.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이연(伊淵)’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
이염 / 李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암 후손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하항·유종지 등 동인들과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대학』의「성의장」은 몸소 실천하여 체득하려 노력하였으며, 실제로 효우가 지극하여 부모를 섬김과 형제를 사랑
이예 / 李藝 [종교·철학/유학]
1373(공민왕 22)∼1445(세종27).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왜적에게 잡혀간 지울산군사 이은 등을 시종한 공으로 아전의 역에서 면제되고 벼슬을 받았다. 회례부사, 통신부사, 첨지중추원사, 동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학파실기』가 있다
이원록 / 李元祿 [종교·철학/유학]
1514(중종 9)∼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추의 증손, 할아버지는 의무, 아버지는 행, 어머니는 이조의 딸이다. 이조정랑으로 재직 중 을사사화가 일어나 많은 사림이 화를 입자,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를 비판하고 이황·정황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하였다.
이원익선생영정 / 李元翼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원익의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이원익은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른 후 1573년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1575년 이후 정언(正言)·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1
이원향교 / 利原鄕校 [교육]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438년(세종 2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향선동에서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599년(선조 32)에 유생 김사영(金士詠)·강탁(姜濯)·강윤조(姜胤祖) 등이 동재
이유일 / 李惟一 [종교·철학/유학]
1577년(선조 10)∼미상. 증조부는 이징, 조부는 이척, 부친은 이구익이다. 1601년(선조 34) 신축 생원시에 급제, 1615년(광해군 7) 을묘 알성시 병과 1위로 문과에 급제했다. 인조반정 후에 전랑, 교리가 되었다. 수북 김광현, 창주 윤지경 등과 교우하였
이을규 / 李乙奎 [종교·철학/유학]
1508∼1545. 조선 중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구산, 아버지는 한주, 어머니는 조계량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고, 1535년에 문과별시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좌랑을 거쳐 승문원교리에 이르렀다. 1537년(중종 30)에 사은사 겸
이응 / 李膺 [종교·철학/유학]
1365(공민왕 14)∼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희충이다.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 1400년(정종 2) 방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영양군에 봉작되었다. 좌부대
이응종 / 李應鍾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유학자‧의병장. 완풍대군의 8세손이다. 윤교형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는 생원으로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나 붕당의 조짐을 보고 귀향하였다. 예학을 연구하여『가례부기』를 저술하였다. 임진왜란시 호남 의병에 가담하여 광주의 의병 진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