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공신전 / 功臣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에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한 토지. 조선시대 공신전의 연원은 고려 태조의 삼한공신과 개국공신에게 지급한 훈전(勳田)이다.
공신회맹제 / 功臣會盟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공신을 녹훈한 뒤 구리쟁반에 담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는 의식. 조선에서 이 제도가 최초로 실시된 것은 1398년(정종 즉위년)이다. 제1차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익안군 방의(芳毅) 등 29인을 정사공신으로 책록, 회맹제를 지낸 뒤 경복궁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
공안 / 貢案 [역사/조선시대사]
중앙 각 관사의 경상비 확보를 위해 각 지방으로부터 거두어 들이는 공부 세입을 기록한 장부. 공부의 종목은 각종 부역, 공물·진상, 어세·염세·공장세·좌가세·공랑세·행상노인세·선세·가기세·호저화·세공저화·신세포·연호미·호포·선상노비신공 등의 잡세까지 모두 망라되었다.
공안부 / 恭安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정종이 상왕이 되자 그를 위하여 설치한 관청. 1400년(정종 2) 11월 정종이 태종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은퇴하자, 태종이 그를 위하여 설치한 특별관부이다. 이는 1400년 6월 상왕이었던 태조를 위하여 세운 승녕부의 예에 따른 것으로, 판사·윤·소윤·
공안상정청 / 貢案詳定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물의 부과·징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조선 초기 공부상정도감을 설치하여 그 업무를 주관, 공납제의 개선을 이룩한 성종 때부터는 공안상정소 또는 공안상정청을 설치하여 주관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공안정국 / 公安政局 [사회/사회구조]
집권세력 내지 정부가 정치적 반대세력 탄압을 위해 사회질서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발생한 것처럼 과장하여 조성한 보수적 정치 국면. 원래 공안정국이란 용어는 1989년 노태우 정부가 보수적 지배체제로의 회귀를 위해 조성한 강압적 정치국면을 의미하는 고유명사적 표현이었다
공야사 / 攻冶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조에 소속된 관서. 조선 초기에 중앙관서에서 소비되는 금은·주옥 등의 세공 및 동랍철의 주조, 도자기·기와류 등의 제작을 전담하였다. 또한 도량기에 관한 사무도 관장하였다.
공양문 / 供養文 [종교·철학/불교]
용복사에서 불교의 각종 권공의식 절차를 수록하여 1634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의례서. 불교의 각종 권공의식(勸供儀式)에 대한 절차를 수록한 의식집이다. 1책. 편자 미상. 1634년(인조 12) 과거부터 내려오는 여러 공양문을 합쳐서 경기도 수청산 용복사(龍腹寺)에서
공업 / 工業 [경제·산업/산업]
원료를 인력이나 기계의 힘으로 가공하여 유용한 물자를 만드는 산업이다.
공업교육 / 工業敎育 [교육/교육]
공업 분야의 직업에 처음으로 취업하거나 이미 취업한 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그 직업에서 요구하는 지식·기능·태도를 가르쳐 주는 직업교육의 하나. 공업 분야라 하면 기계공업·전기공업·금속공업·화학공업·섬유공업·요업·토목건축업·광업 등의 직업 분야를 말하며,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