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총 2,80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장병도 / 長柄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83명(남 43명, 여 40명)이고, 세대수는 33세대이다. 주민 대부분이 전주이씨로 1700년경 전라북도 고창에서 입도하였다고 한다. 취락은 섬 중앙에 있는 장병마을에 집중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장봉도 / 長峯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에 있는 섬. 고려 말 몽고군사를 피하기 위하여 강화도 주민들이 피난을 와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989명(남 514명, 여 47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20세대이다. 취락은 중앙 저지대에 밀집하며,
장산 / 獐山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경산지역의 옛 지명. 원래 압량(押梁, 또는押督)이라는 소국이었는데 신라가 102년(파사왕 23)에 압량을 점령하였으며, 146년(일성왕 13) 압량국이 반란을 일으켜 이를 평정하였다는 기록도 보인다. 그 뒤 이곳에 압량주를 두고, 642년(선덕여왕 11 )김
장산 / 長山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신안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거지산현(居知山縣, 또는 屈知山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안파(安波)로 고쳐 압해군(押海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에 장산(長山, 또는 安陵)으로 고쳤고, 현종 때 나주목에 예속시켰으며, 조선시대에도 그대
장산곶 / 長山串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黃海南道) 용연군(龍淵郡) 서해안에 돌출한 반도. 장산곶의 길이는 21㎞, 너비는 7㎞이며, 동서방향으로 놓여 있다. 도(道)의 중앙을 횡단하는 산맥이 서쪽으로 길게 뻗쳐 황해 연안에 돌출한 첨단부(尖端部)이다. 조선시대 아랑포영(阿郎浦營)과 조니포진(助泥浦鎭
장산도 / 長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723명(남 878명, 여 845명)이고, 세대수는 915세대이다. 면사무소가 있는 섬 중앙의 도창리가 중심지를 형성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35.55㎢, 밭 5.71㎢, 임야 10.50㎢이다. 간척사
장산성 / 獐山城 [지리/인문지리]
삼국시대 신라의 산성. 장산성(獐山城)은 신라 전시기에 걸쳐 왕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던 산성이다. 신라 수도 서쪽의 방어상 중요했던 경북 경산시에 있었다. 신라 지마이사금 때 압독국을 복속한 후 이후 그곳에 성곽을 구축하였다. 장산성의 위치는 『삼국사기』 열전 김인
장생포선 / 長生浦線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남구 태화강역과 장생포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총연장은 3.6km이다. 장생포선은 여객수송에는 이용되지 않으며, 울산항 주변의 화물수송만 담당하였다. 2008년의 화물수송량은 119만 6,996톤에 달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는 250만 톤 이상의 화물을
장성 백양사 백학봉 / 長城白羊寺白鶴峰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에 있는 명승. 장성 백양사 백학봉은 장성군 백암산 아래에 위치한 백양사와 백학봉 일대의 암벽 및 식생 경관이 아름다워 2008년에 명승 제38호로 지정되었다. 예로부터 대한 8경의 하나로 꼽혀왔을 만큼 이름난 곳이다.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長城 白羊寺─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에 있는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53호. 면적 297만 5220㎡. 이곳 비자나무는 고려 고종 때 각진국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현재 약 5,000그루가 자라고 있다. 비자나무는 주목과에 딸린 상록침엽교목이며 자웅이주(雌雄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