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이보흠 / 李甫欽 [종교·철학/유학]
?∼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현보이다. 1429년(세종 11) 식년 문과에 병과 급제한 뒤, 집현전박사, 성균주부, 지함양군사, 직예문관 등을 역임하였다. 충청도 청안의 향사, 광주의 대치사, 순흥의 성인단, 영천의 송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이봉 / 李封 [종교·철학/유학]
1441(세종 23)∼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색 증손, 할아버지는 종선, 아버지는 계전, 어머니는 진호의 딸이다. 좌찬성 파의 아우이다. 1465년(세조 1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다. 이듬해 문과중시에 합격하고 1467년 우승
이붕수 / 李鵬壽 [종교·철학/유학]
1548년(명종 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팽년, 어머니는 여씨이다. 임진왜란시 북평사 정문부를 만나 강문우, 종성부사 정현룡과 함께 창의기병하여 정문부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는 별장이 되었다.1593년(선조 26) 1월 단천전투에서 승
이사 / 貳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찬성이 겸하였다. 1392년(태조 1) 7월에 반포된 관제에는 없었으나, 태조 4년 3월의 기사에 ‘세자 이사’라는 관직이 나온다.
이산 / 理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초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여진족이 살던 두목리(豆木里)였는데, 고려 충렬왕 때 처음으로 만호(萬戶)를 설치하였으며, 공민왕 때부터 사람들이 점차 불어나 이곳에 만호ㆍ천호 등을 곳곳에 설치하였다. 1402년(태종 2) 산양호(山羊湖)ㆍ도을한(都乙漢)ㆍ봉화대(
이생규장전 / 李生窺牆傳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국내의 것으로는 김집(金集)의 수택본 한문소설집에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와 더불어 필사된 것이 있다. 「이생규장
이손 / 李蓀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20(중종15). 조선 전·중기의 문신. 양중 증손, 할아버지는 우생, 아버지는 수철, 어머니는 이맹상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 선전관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조정랑·도총부경력, 김해부
이수 / 李隨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생원시에 제1위로 합격, 1410년(태종 10) 왕이 경명행수한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 사재감정·좌군동지총제, 1422년(세종 4) 황해도관찰
이수광 / 李睟光 [종교·철학/유학]
1563-1628. 조선 인조때의 유학자. 1584년 과거급제 이후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명나라에서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 <중우론> 등을 얻어왔다. 1614년 <지봉유설>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하였다. 또한 양명학, 불교, 도교에
이수형 / 李守亨 [종교·철학/유학]
1448(세종 30)∼1504(연산군 10). 조선 전·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명도, 아버지는 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었다. 1468년(세조 14) 진사시에 급제하고, 1477년(성종 8) 형 의형과 함께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전적·장례원판결사를 역임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