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이발 / 李潑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김근공·민순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알성문과에 장원,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고, 이조정랑으로 발탁되었다. 1579년 응교,
이병 / 李炳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식의 현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인실이다. 저서로는 단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은『부춘당북천록』이 있다.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이병상 / 李秉常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제 증손, 할아버지는 정기, 아버지는 항, 어머니는 최계웅의 딸이다.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상 이관명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이
이병성 / 李秉成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산보 5대손, 아버지는 속, 형이 병연이다. 김창흡의 문인이다. 1702년(숙종 28) 진사시에 합격하여 사환하였으나 대과에 급제하지 못하여 청요직을 역임하지 못하였고, 군수·공조정랑 등을 역임하고 부사에
이병연 / 李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시인(1671∼1751). 김창흡의 문인이다. 영조 때 최고의 시인으로 일생 동안 1만 300여 수에 달하는 시를 썼다고 전해지는데, 그 중 500여 수가 현존한다. 시 작품의 대부분은 서정성이 강한 산수·영물 시이며, 저서로《사천시초》가 있다.
이병원 / 李秉遠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조부는 이상정, 부친은 이완, 모친은 이범중의 딸이다. 형은 이병운이다. 부인은 이만운의 딸이다. 김종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01년(순조 1) 음직으로 목릉참봉·의금부도사·청하현감·비안현감
이병헌 / 李炳憲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1940년. 일제강점기에 활동하였던 유교개혁사상가·공교운동의 지도자·금문경학자. 곽종석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1914년 45세 때 중국에 건너가서 강유위를 처음 만난 뒤로 1925년 56세 때 다섯번째 방문하는 12년 동안은 강유위의 지도
이병호 / 李炳鎬 [종교·철학/유학]
1851(철종 2) -1908(순종 2). 조선 말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이휘양, 조부는 이만의, 부친 이중영과 모친 강서영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첫째 부인은 김재용의 딸, 둘째 부인은 김시림의 딸이다. 한주 이진상을 찾아가 학문을 질정하였으며, 면우 곽종석과는
이병화 / 李炳華 [종교·철학/유학]
1906년∼1952년. 독립운동가. 1916년 할아버지 상룡을 따라 아버지 준형과 함께 중국 동삼성 지역으로 갔다. 1927년 5월 길림성 반석현에 기반을 두고 조직된 한족노동당에 가입하여 사무집행위원으로 활동, 1934년 5월 청성진 일본경찰주재소의 습격사건과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