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이몽규 / 李夢奎 [종교·철학/유학]
1510년(중종 5)∼1563년(명종 18). 조선 전기의 사인. 조부는 이성무, 부친은 이인신, 모친은 반반희의 딸이다. 이단을 배척하여 평소 풍수지리사상과 불교 및 무당을 강하게 비판하였다고 한다. 1563년(명종 18) 병을 얻어 그 해 6월 54세의 나이로 사망
이몽학 / 李夢鶴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 조선 중기의 반란자. 왕족의 서얼 출신이다. 아버지에게 쫓겨나서 충청도·전라도 사이를 전전하였다. 반란을 일으켜 목사 홍가신, 무장 박명현·임득의 등의 훌룡한 방어와 반란군 가운데 이탈하여 관군과 내응하는 자가 속출, 반란군의 전세가 불리하게
이문 / 吏文 [언어/언어/문자]
중국과 주고받는 외교문서 및 우리 나라의 관청 공문서 등에 사용되던 독특한 한문(漢文)의 문체(文體). 우리 나라에서 이문이 문제된 것은 중국과의 외교문서에 이것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외교문서는 원래 순수한 한문으로 썼으나 이러한 이문으로도 썼는데, 한문만 통달하여서
이문 / 移文 [정치·법제/법제·행정]
동등한 아문에 보내는 문서. 또는 문서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다만『경국대전』에 의하면 2품 이상 아문 만이 상고할 일에 관하여 직접 이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2품 아문에 준하는 아문(승정원·사간원·예문관·성균관 등)도 직접 이문할 수 있었던 것
이문원 / 摛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역대임금의 어진·선적·어필·어제·교명·전장문적 등을 보관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창덕궁 내에 설치되어 이 외에도 금보·옥인·옥책·죽책 등도 관리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창덕궁의 금호문 안 북원에 새로이 건물을 짓고 설치한 규장각에서 이를 관할하게 하였는데
이문집람 / 吏文輯覽 [언어/언어/문자]
『이문(吏文)』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 『이문집람』 권2∼4와 『이문속집집람』 1권으로 된 4권 1책. 『이문』은 명나라와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모아놓은 책으로 최세진(崔世珍)이 이문의 학습참고서로서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1539년(중종 34)에 편찬하였다
이문흥 / 李文興 [종교·철학/유학]
1423(세종 5)∼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극명, 할아버지는 인봉, 아버지는 국이다. 1462년(세조 8) 진사에 합격, 1469년(예종 1) 교수로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493년 성균관유생 박광영 등이 유생의 스승으로 가장 존경할 만한
이발 / 李潑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김근공·민순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알성문과에 장원,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고, 이조정랑으로 발탁되었다. 1579년 응교,
이방 / 吏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인사 관계의 실무를 맡아보던 부서 또는 그 일에 종사하던 책임 향리. 지방관서의 행정업무도 중앙부서와 같이 6전 체제로 편성하였으므로 이은 향리의 인사·고과 등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또 이방은 지방아전의 대표자이며, 호방·형방과 함께 3공형으로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