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2,75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잠포온천 / 潛浦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어랑군 칠향리에 있는 온천. 어랑군은 동서로 길쭉한 형태이다. 함경산줄기가 서쪽 경계를 형성해 서고동저의 지형적 배치를 이루고 있다. 주남천(朱南川)과 어랑천(漁郞川)이 동으로 흐르고 있다. 온천은 어랑천 유역의 칠향리에 위치해 있다. 온천 배후에는 가파른 산

  • 장강군 / 長江郡 [지리/인문지리]

    자강도(慈江道)의 중북부에 있는 군. 장강군은 동쪽으로 화평군·랑림군, 서쪽으로 강계시·시중군, 남쪽으로 성간군, 북쪽으로 만포시·자성군과 접해 있다. 동경 126°31′∼126°56′, 북위 40°54′∼41°14′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727.1㎢, 인구는 5만

  • 장계 / 長溪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장수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백해군(伯海郡, 또는 伯伊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벽계군(壁溪郡)으로 고치어 고택현(高澤縣)과 진안현(鎭安縣)을 영현으로 삼고 전주 관할하에 두었다. 940년(태조 23)에 장계(長溪, 또는 長世)로 고치었고, 1

  • 장고도 / 長古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1′, 북위 36°24′에 위치한다. 오천면 해안에서 서쪽으로 17.4㎞, 삽시도에서 북쪽으로 3.8㎞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7㎢이고, 해안선 길이는 8.6㎞이다.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

  • 장곡 / 長谷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정평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려의 장주(長州, 또는 椵林ㆍ端谷)였는데, 현종 때 성을 쌓고 방어사(防禦使)를 두어 동계(東界)에 예속시켰다. 한때 원나라의 영토가 되었으나 환조(桓祖)가 이곳을 수복하자 공민왕이 장곡현(長谷縣)을 설치하였으며 세종 때 정평도호부

  • 장군봉 / 將軍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높이 2,108m. 백두산에서 남동방향으로 뻗어내린 마천령산맥에 속한다. 북포태산(北胞胎山, 2,289m)에서 뻗은 지맥이 남포태산(南胞胎山, 2,435m)을 거쳐 장군봉으로 이어진다. 백두산 용암대지의 끝에 있는 메사(mesa)의

  • 장군봉 / 將軍峰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과 재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20m. 봉화군은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고 동으로 태백산맥, 북으로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그 중에서도 소천면과 재산면은 봉화군에서도 가장 험한 산악지대이다. 북쪽 멀리에는 태백산에서부터 연화봉(蓮花峰

  • 장기 / 長鬐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포항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지답현(只畓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기립현(鬐立縣)으로 고치고 양주(良州) 의창군(義昌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태조 23) 장기현으로 고쳤고,1018년(현종 9) 경주부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공양

  • 장단군 / 長湍郡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연천군, 서쪽은 개풍군, 남쪽은 파주군, 북쪽은 황해도 금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34′∼126°53′, 북위 37°49′∼38°13′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724㎢, 인구 6만 8,293명(1937년 현재)이다. 10개

  • 장당경 / 藏唐京 [지리/인문지리]

    고조선시대 단군(檀君)의 도읍지.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제1 고조선조에는 『고기(古記)』를 인용하여 “요(堯) 임금이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에 평양성에 도읍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칭하였다. 또,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에 옮겼는데 그곳을 궁홀산 또는 금미달이

페이지 / 27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