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김진화 무장현감 해유문서 / 金鎭華 茂長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진화 무장현감 해유문서. 1849년(헌종 15) 3월 22일 수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동년 5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5월 19일에 이조에서 김진화에게 조흘하였다. 김진화는 학봉의 10대 주손(胄孫)으로 종수(宗壽)의 아들이다.
김진화 원주판관 해유문서 / 金鎭華 原州判官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진화 원주판관 해유문서. 1842년(헌종 8) 11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일에 강원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3년(헌종 9) 1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1월 초6일에 이조에서 김진화에게 조흘하였
김진화 청송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鎭華 靑松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진화 청송도호부사 해유문서. 1841년(헌종 7) 8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8월 23일에 경상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2년(헌종 8) 4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4월 26일 이조에서 김진화에게 조흘하였다. 김
김진흥 / 金振興 [예술·체육/서예]
조선후기 「대학장구」·「전해심경」 등의 작품을 낸 서예가. 본관은 선산(善山). 1654년 역과(譯科)에 급제하였는데, 글씨를 잘 써 전문학관(篆文學官)에 등용되었으며, 관직은 호군(護軍)에 이르렀다. 여이징(呂爾徵)에게 전(篆)을 익혔고,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
김질 / 金礩 [종교·철학/유학]
1422년(세종 4)~1478년(성종 9) 개국공신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金陞)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종숙(金宗淑)이며, 어머니는 이양직(李良直)의 딸이다.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의 집현전 학사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는 모
김질 / 金質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안변부사 언룡 증손, 할아버지는 을만, 아버지는 통례원찬의 복중, 어머니는 주부 이원경의 딸이다. 그의 인물됨을 높이 사서 김인후는 그의 집을 영모라 하였으며, 유희춘도 그의 행위를 경모하였다. 한때는 기
김질간 / 金質幹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1(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광우, 아버지는 성균박사 응구, 어머니는 노경기의 딸이다. 160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 등 내외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지평, 1612년 병조정랑
김집 / 金集 [종교·철학/유학]
1574-1656. 조선 효종때의 예학자. 성리학자. 김장생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송익필에게서 예학을 전수받았다.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어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였다. 부친 김장생과 함께 조선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유고>, 편서로는
김징 / 金澄 [종교·철학/유학]
1623(인조 1)∼1676(숙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계 증손, 할아버지는 인백, 아버지는 공조정랑 극형, 어머니는 정호의 딸이다. 어릴 때 이식에게 글을 배웠고, 그 뒤 송준길의 문인이 되었다. 1652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학유, 주서,병조좌랑, 정언
김창서원 / 金昌書院 [교육/교육]
평안북도 삭주군(현재의 대관군) 외남면 송남동에 있던 서원. 1707년(숙종 3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선우협(鮮于浹)·이문삼(李文三)·김익호(金翼虎)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