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원산역 / 元山驛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원산시 석우동에 있는 경원선의 기차역. 1914년 9월 16일 경원선의 완전 개통으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13년 8월 21일부터 1914년 5월 31일까지 여객승강인원수를 보면 원산∼고산간은 평균 102명이, 원산∼석왕사간은 평균 54명이 이용하
원산총파업 / 元山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29년 1월 13일부터 4월 6일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전개된 원산노동연합회 산하 전 노동조합원 2,200여 명의 총파업. 일제강점기 한국노동운동사상 최대규모의 파업으로, 1928년 9월에 있었던 문평제유공파업에서 비롯된다. 영국인이 경영하는 문평리 라이징 선 석유
원산항 / 元山港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원산시에 있는 항구. 영흥만의 남서쪽에 있다.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에 의하여 1880(고종 17)에 강제 개항되었다. 통상적인 견지에서라기보다는 러시아와 영국의 군사력에 대비하여 일본에 의하여 개항되었다. 1879년 6월 일본의 외무대신은 원산진이 무
원세개 / 袁世凱, [정치·법제/외교]
1859-1916. 조선 주재 청국 총리교섭통상대신. 중화민국 초대 대총통. 원세개가 두각을 나타낸 사건은 1882년 조선에서 발생한 임오군란이었다. 1884년 일부 청군의 철수를 틈타 조선의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키자 원세개는 청군을 출동시켰다. 그리하여 일본군을 패퇴
원수부 / 元帥府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설치되었던 황제 직속의 최고 군통수기관.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대한국국제를 반포해 자강의 의지와 개혁을 추진하였는데, 1899년 군통수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황제가 대원수로서 모든 군기를 총괄하고 육해군을 통령하였고,
원숙강증시문서 / 元叔康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원숙강(元叔康)에게 '정민(貞愍)'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청백자수왈정 재국봉간왈민'이라 적어 정민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원숙강특증문서 / 元叔康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교리를 지낸 고 원숙강(元叔康)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원숙강을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의 명이 있다.
원작헌례급기진제진설도 친제동 / 園酌獻禮及忌辰祭陳設圖 親祭同 [정치·법제]
원(園)에서 작헌례나 기신제를 거행하거나 묘에서 기신제를 거행할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원주민란 / 原州民亂 [역사/근대사]
1885년 강원도 원주목(原州牧)에서 발생한 민란. 원주목민들이 환곡의 폐단을 시정해줄 것을 호소하기 위하여 모였다가 마침내 관아로 쳐들어가 판관, 이서의 집을 파괴, 창고지기를 불에 태워 죽이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서들도 별도로 무리를 지어 각 촌리로 나가 양반가 등
원청명제진설도 준경영경묘대빈묘완왕묘동 / 園淸明祭陳設圖 濬慶永慶墓大嬪墓完王墓同 [정치·법제]
원, 준경묘, 영경묘, 대빈묘, 완왕묘에서 24절기 중의 하나인 청명일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준경묘와 영경묘는 태조의 5대조인 이양무(李陽茂)와 부인인 삼척이씨의 묘이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된 문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