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신사영 / 申思永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상 증손, 할아버지는 명규, 아버지는 구, 어머니는 조수한의 딸이다. 사복시첨정, 병조참지를 거쳐 승지에 임명되었다. 공무를 집행할 때에는 거침없이 왕에게 직간하고, 사생활에서는 근검으로 일생을 지내 그

  • 신사참배거부운동 / 神社參拜拒否運動 [종교·철학/개신교]

    1930년대 후반부터 1945년 광복이 되기까지 주로 기독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신앙수호를 위한 항일운동. 1910년 한국병탄전에는 일본 거류민들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건립과 유지를 주도했지만, 병탄 후에는 조선총독부의 보호와 육성 아래 신사의 관공립적인 성격이 강

  • 신사철 / 申思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1759). 숙종 때 문과 급제하여, 이조좌랑·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경종 즉위 후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등용되어

  • 신상 / 申恦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정미 증손, 할아버지는 암, 아버지는 민일,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 장령, 종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은휴와집』·『부음록』·『휘언』·『진행초

  • 신상권 / 申尙權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득윤, 조부는 신석이다. 부친 신경류와 모친 조석중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신명권이다. 1762년(영조 38) 정시에서 장원으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정언, 지평, 장령 등에 임명되었다.

  • 신석번 / 申碩蕃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유 증손, 할아버지는 응암, 아버지는 근, 어머니는 덕수이씨이다. 정경세 문인이다.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 1641년에 대군사부, 경기전참봉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백원집』이 있다.

  • 신석우 / 申錫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5∼1865). 순조 때 문과에 급제, 헌종 때 병조참판·우승지·양주목사·대사성·이조참의·승지·이조참판 등을 거쳐, 철종 때 경상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예조판서가 되었다. 동지정사로 청나라를 다녀왔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해주기적

  • 신석호 / 申錫祜 [종교·철학/유학]

    1816년(순조 16)∼1881년(고종 1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신면위이다. 1866년(고종 3) 유후조 낙파상공의 천거로 경상도연보전도유사를 지냈다. 1876년(고종 13)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황재현·홍재학 등과 함께 체결 반

  • 신석희 / 申錫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73). 헌종 때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철종 때 대사성·홍문관부제학·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와 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고종 때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제학, 대사

  • 신섭 / 申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사의조선책략》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신섭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조선책략》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조선책략》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 중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