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운산시호가 / 運算時呼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尙州) 동학 본부에서 간행한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2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당시 동학 교주 김주희(金周熙)로 추정되나 확증은 없다. 이 가사는 「운산시호가」와 「송구영신가(送舊迎新歌)」 2편으로 이
운수업 / 運輸業 [경제·산업/산업]
화물 및 여객의 수송을 담당하는 산업. 자동차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03년 고종이 미국에서 소형승용차를 구입하여 사용하면서부터이며, 철로는 1899년 일본인 소유의 경인철도합자회사가 노량진에서 제물포까지 33.2㎞의 경인선을 개통시킨 이후이다. 해운업은 1882년에는
운암수력발전소 / 雲庵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에 있었던 발전소. 1929년 10월 설립된 남조선전기주식회사에서 그 해 12월 착공하여 1931년 10월 시설용량 5,120㎾(2,560㎾ 2대)가 준공되었으나, 현재는 설비의 노후화로 1985년 2월 폐쇄되었다. 준공 당시는 1928년
운암제 / 雲巖堤 [경제·산업/산업]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옥우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사이에 있는 저수지. 1925년 3월에 착공, 1928년 12월에 준공하였다. 총저수량은 6900만톤으로 전국 굴지의 저수지이다. 몽리면적은 약 1만9700ha로서 동진강과 만경강 연안의 평야부를 관개한다. 아치형
운애산방 / 雲崖山房 [문학/고전시가]
19세기 후반, 인왕산 필운대 근방에 있었던 가객(歌客) 박효관(朴孝寬)의 집. 운애산방에는 많은 남녀 가객들이 풍류 모임을 열거나 노래를 배우기 위해 모여들었으며, 가객으로서의 명성 때문에 당시 여항 음악인들은 그를 존경해서 이름을 부르지 않고 반드시 ‘선생(先生)’
운요호사건 / 운요號事件 [역사/근대사]
1875년 9월 20일 일본군함 운요호(雲揚號)의 강화해협 불법침입으로 발생한 한일 간의 포격사건. 1873년 12월부터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일본정부는 조선 침략을 노골화하기 시작했다. 1875년 5월초 운요호, 제이정묘호 등 군함 2척을 부산에 파견하면서, ‘
운정기문 / 雲庭記聞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학자 이해충의 추요문답·덕의론·존호론·동국춘추론 등을 수록한 잡록. 1책. 목활자본. 속표지는 ‘南洞日記(남동일기)’로 되어 있다. 1892∼1903년까지의 기록으로 글 뒤에 반드시 날짜를 표기해두었다. 내용은 추요문답(芻蕘問答)·덕의론(德義論)·존호론(尊
운창선생문집 / 芸窓先生文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6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7.9×17.8cm이고, 반곽은 21.1×12.7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운창집(芸窓集)이다. 박성양(朴性陽)이 지은 것으로, 서문(序文)은 庚午(1930)에
운화지기 / 運化之氣 [종교·철학/유학]
최한기가 기(氣)의 운동과 변화를 강조하기 위하여 쓴 개념. 운화(運化)란 본래 하늘과 땅의 운행과 기상의 변화 등 자연의 움직임과 변화를 총괄하여 지칭한 말로 천지의 운화, 음양오행의 운화 등으로 쓰이다가 기로써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성리학적 세계관이 보편화됨에 따라
울도선경가 / 鬱島仙境歌 [문학/고전시가]
1906년박시옹(朴時顒)이 지은 가사. 울릉도 개척 당시의 생활상과 풍물을 소재로 하였으며, 간결한 문체와 정연한 형식을 갖춘 비교적 짧은 작품이다. 「정처사술회가(鄭處士述懷歌)」와 함께 울릉도 개척기의 정황을 표현한 희귀한 작품이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43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