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신대승 / 申大升 [종교·철학/유학]

    1731년(영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탁, 조부는 신적하, 부친은 신유. 외조부는 이득보, 처부는 이영록이다. 1770년(영조 46) 정시 문과에서 장원 급제하였다. 1771년(영조 47) 5월 사헌부지평, 8월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며, 1776년(영조

  • 신도 / 神道 [종교·철학/민간신앙]

    일본 민족의 신관념에 바탕을 두고 발생한 일본인들의 전통적인 종교. 종교로서의 신도에는 민족종교의 성격을 바탕에 두고 매우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로부터 신도를 자의적으로 확대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일반적으로 신도의 개념에 포함되는 주요

  • 신돈 / 辛旽 [종교·철학/불교]

    ?∼1371년(공민왕 20). 고려 말 공민왕 때의 승려. 1358년(공민왕 7) 공민왕의 측근인 김원명의 소개로 공민왕을 처음 만나게 되어 궁중에 드나들기 시작하였다. 공민왕 자신이 독실하게 불교를 받들었고, 신돈 또한 총명하여 왕에게 두터운 신망을 얻었다고 한다.

  • 신동입석 / 新洞立石 [종교·철학/민간신앙]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에 있는 선돌. 1기.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선돌은 선사시대 큰돌문화[巨石文化]의 한 형태로 무덤을 표시한 묘표(墓標), 마을 사이의 경계나 구분을 나타낸 경계표, 마을을 지켜주는 조상신이나 수호신,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풍수비보신(

  • 신득연 / 申得淵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47(인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서 증손, 할아버지는 중엄,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노개의 딸이다. 1603년(선조 36) 생원시에 합격하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문한관을 거쳐 성균관전적으로『선조실록』편찬의

  • 신리대전 / 神理大全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나철이 <삼일신고>의 신훈편을 설명한 책이다. 신위, 신도, 신인, 신교의 4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종교의 신관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 서일이 한문으로 주를 달았으며, 1923년 김교헌이 간행하였다. 그 뒤 윤세복이 한글로 번역하

  • 신립 / 申砬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순변사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

  • 신만 / 申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65).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부제학·도승지·이조참판 등을 거쳐 예조·이조·호조·병조의 판서, 개성유수·경기관찰사를 지냈다. 찬수당상으로 《천의소감》을 편찬한 이후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사도세자가 뒤주에

  • 신명순 / 申命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98∼1870). 서 아들, 어머니는 박영원의 딸이다. 1862년 진주의 황지일대에서 민요가 일어나자 절도사로 파견되어 백성을 위무하고, 곡식을 내어 곤궁함을 구원하여 안정시켰다. 흥선대원군의 신임이 두터웠으므로 1864년(고종 1) 어영중군·도

  • 신명연 / 申命衍 [종교·철학/유학]

    1808년(순조 9)∼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명준의 동생이다. 무과에 등제하였으며, 벼슬은 부사를 지냈다. 아버지로부터 시·서·화에 능하다는 평을 들었다. 산수·화조·화훼·묵죽 등을 즐겨 그렸다. 전형적인 남종화법을, 묵죽은 아버지의 화풍을 주로 따랐으나, 생동감이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