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우정총국 / 郵政總局 [역사/근대사]

    구한말 최초의 근대식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 1884년 3월 27일에 설치되고, 3월 28일 책임자로 홍영식이 임명되어 법령을 마련하는 등 개국 준비를 하였다. 그 해 10월 1일 처음으로 우체 업무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갑신정변으로 1884년 10월 21일 폐지

  • 우치다 사다즈치 / 內田定槌 [정치·법제/외교]

    1865-1942. 근대 일본의 외교관. 상해영사관과 서울영사관에서 근무. 1890년 9월 부영사로 중국 상해 영사관에 부임한 이후 1893년 11월부터 서울, 1896년 11월부터 뉴욕에서 근무하였다. 1906년 12월 브라질 변리공사에 임명되었고, 1907년에는 특

  • 우편 / 郵便 [경제·산업/통신]

    신서(信書) 및 일정한 물건을 일정한 조직에 의하여 규칙적으로 송달하는 제도. 우편은 전신·전화가 전기·전파의 힘에 의하여 통신하는 것임에 반하여 신서와 기타의 물건 자체를 수신인에게 송달하는 것이며, 그 송달수단으로는 사람·말 기타 육·해·공의 수송기관과의 연결이 특

  • 우편엽서 / 郵便葉書 [경제·산업/통신]

    간편한 통신을 위하여 만들어진 통신방식으로 봉투에 넣지 않고 그대로 부칠 수 있는 카드형식의 편지지. 세계에서 처음으로 우편엽서를 발행한 것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로 1869년 10월이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884년 근대 우편제도가 처음 개설되었을 때 이른바 문위우표(

  • 우표 / 郵票 [경제·산업/통신]

    우편물에 첨부하여 우편요금을 납부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정부 또는 정부로부터 위임받은 기관이 발행하는 증표. 우정총국의 개국과 함께 맨 처음 발행된 우표는 5종의 문위우표(文位郵票)였다. 문위우표는 우리 나라 최초의 우표로서 다른 여러 나라의 예와 같이 여러 가지 난

  • 우풍 / 虞風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양산과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우불산 밑에 있어 우화현(于火縣)이라 하였는데, 신라 경덕왕 때우풍현으로 고쳐 동안군(東安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태조 때울주군으로 편입시켰으며, 그 뒤 1906년양산군에 이속되었는데, 웅상면의 뜻은 당시의

  • 운계집 / 雲溪集 [종교·철학/유학]

    전이성의 문집. 목활자본, 서: 유도헌(1906), 발: 전학영(1907), 4권 2책. 권1에는 시 90수가 수록, 권2는 부록으로 행장, 27편의 만사와 8편의 제문도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해휴록상편과 제. 기를 비롯하여 67수의 시 수록, 권4에는 해휴록하편과

  • 운곡집 / 雲谷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송한필의 시·잡저·제문·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연활자본. 1910년 송종필(宋鍾弼)이 중간한 『구봉집(龜峯集)』 권11에 부재되어 있다. 시 32수, 잡저 12편, 제문 1편, 서(書) 1편, 잡설 8칙, 비문 1편, 송서(送序) 1편

  • 운떼르베르게르 / П. Ф. Унтербергер [정치·법제/외교]

    1842-1921. 제정러시아 연흑룡 총독. 1888년 연해주군무지사로 임명되었다. 1895년 연해주군사령관을 겸임하였다. 1897년에는 조선을 방문하였다. 1905년 연흑룡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극동지역의 가장 핵심적인 자리에 올랐다. 1905년에서 1910년까지 운떼

  • 운산광산 / 雲山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읍에 있는 금광산. 운산광산도 1939년경 일본인이 경영하게 되었다. 광복 전에 운산광산은 대유동(大楡洞)·광양(光陽) 등의 금광산과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금광으로 알려졌던 곳이다. 이 중 운산광산은 대유동광산과 어자령(於自嶺)을 중심으로 각각 1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