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신광요 / 申匡堯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1799(정조 23). 신개 후손이다. 아버지는 신종악이다. 1751년(영조 27) 신미 춘당대시 병과 5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동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 신광집 / 申光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38∼1809). 일찍이 경학을 공부하였으나 중년에 과거 공부를 그만두었다. 그러나 더욱 열심히 책을 읽고 의미를 탐구하여 옳은 일을 행하고 순수하고 돈독하여 여러 읍의 수령과 어사들이 천거하였으나 등용되기 전에 순조 기사년(1809)에 죽었다.

  • 신광하 / 申光夏 [종교·철학/유학]

    1688(숙종 14)∼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여철, 아버지는 환.1712년(숙종 38)에 정시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임명되었다. 총융사, 도총부총관, 포대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1736년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곧 죽었다. 평소에 과

  • 신광하 / 申光河 [종교·철학/유학]

    1729(영조 5)∼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이천령의 딸이다.1751년(영조 2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조경묘참봉,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목만갑·이헌경·정범조 등과 함께 당대 사문장으로 꼽히었

  • 신구중 / 愼龜重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신수근 후손, 증조는 신득의, 조부는 신희. 부친은 신휘오, 생부는 신지일이다. 외조부는 이대년, 처부는 이정관이다. 형은 신만적‧신만길, 동생은 신만중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생원 1등 3위로 합격, 1727

  •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1501년(연산군 7)∼1573년(선조 6) 12월 23일. 선교랑 훈도를 지냈다. 아내는 임득번의 딸이다. 구암 이정, 갈천 임훈과 여러 날 학문을 강마하다가 더러는 시를 주고 받기도 하였다. 인조 연간에 후손 신경직이 성팽년의 후손 성경창 등과 함께, 신권이 154

  • 신근 / 申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64). 숙종 때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강진현감·지평·정언·장령·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 강진현감으로 재직 중 그의 서자를 토착부호의 딸과 강제로 혼인시키려다 문제가 생겨 관직을 뺏겼다. 그러나 학문이 높고 예론에 밝아 《의례유설

  • 신기 / 神氣 [종교·철학/유학]

    최한기가 기(氣)의 인식론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쓴 개념. 신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용 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운동을 지칭하는 신이라는 개념과 그 작용 내지 운동의 주체로 간주된 기가 합쳐진 용어로 신령한 기 또는 정신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기라는 의미로 사용되었

  • 신길원 / 申吉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열사.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 당시 문경현감으로 있었는데, 왜군이 관내에 쳐들어 오자 관병 수십 명을 이끌고 관아를 지키며 결사적으로 항전하였다. 중과부적으로 왜병들에게 밀려 조령을 향하여 후퇴하였으나 20여 명의 부하들과

  • 신낙희 / 申樂熙 [종교·철학/유학]

    1836∼1887 (헌종 2 ∼ 고종 24) 아버지는 헌이다. 본서 첫 머리에 이력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으나, 자료가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고종 때 병조・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조선의 외교를 담당했던 신헌의 셋째 아들이자 어영대장 신정희의 아우이다. 관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