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주본 / 奏本 [정치·법제/외교]

    중국의 천자(天子)에게 올리는 글. 긴요한 사건에 대한 상주서(上奏書)이다.『명회전』에 의하면 백성들이 조정에 올리는 글을 주본(奏本)이라 하였고 동궁에게 올리는 글을 계본(啓本)이라 하였는데 주·계본이 모두 세자(細子)를 쓰고 서식이 복잡하여 불편하다고 하여 제본(

  • 주부 / 主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서의 문서와 부적을 주관하던 종6품 관직. 1392년(태조 1) 7월 신반관제이후, 1466년(세조 12)에 종6품의 주부로 개칭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돈녕부·봉상시·사복시·군기시·관상감·훈련원에 각각 2원, 종부시·사옹원·내의원·상의원·내자시·내섬

  • 주서 / 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7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고려시대 중추원의 당후관(堂後官)이 1400년(정종 2)에 승정원 당후관으로 되었다가 뒤에 주서로 개칭된 것이다. 승정원의 기록, 특히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담당하여 청요직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 주운화 / 朱雲化 [정치·법제/법제·행정]

    1918년∼1996년. 현대 법조인. 본관은 신안(新安), 출신지는 함경남도 원산(元山)이다. 1941년 일본 쥬오[中央]대학 전문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광복 후 귀국하여 청주지방검찰청 검사를 시작으로 1953년 감찰위원회 감찰국장, 1955년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주일한국공사관 [정치·법제/외교]

    1887년 5월 일본 도쿄에 개설. 1905년 12월 폐쇄. 한국은 일본과 조약을 체결한 지 11년 만인 1887년 5월 주일공사관을 도쿄에 개설하고 주일공사를 파견하였다. 주일공사로 임명 부임한 인물은 초대공사 민영준을 비롯해서 이하영, 김가진, 김사철, 고영희, 조

  • 주작기 / 朱雀旗 [정치·법제/국방]

    조선 시대에 군기인 대오방기의 하나. 진영의 앞에 세워 전군, 전영 또는 전위를 지키는 사각기이다. 붉은 바탕에 머리가 셋인 주작과 청ㆍ적ㆍ황ㆍ백 등 4가지 채색으로 구름무늬가 그려져있으며,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기 바탕과 화염각 및 영자는 홍주, 깃은 흑주를

  • 주장 / 朱杖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이나 왕비의 노부에 사용되는 기구. 국왕이나 왕비가 거둥할 때 의장군 내에 시위를 위해 붉은색 몽둥이를 든 사금 혹은 내시가 배치되었다. 국왕의 행렬에서는 주장사금 16원이 상복을 입고 말을 타고 받들었고, 왕비의 행렬에서는 내시 4인이 주장을 들었다. 왕세자의

  • 주정소 / 晝停所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임금이 거둥하다가 휴식을 취하는 곳. 주로 왕이 능행을 할 때 낮에 잠시 어가를 쉬기위하여 머물렀는데, 이때 차나 죽을 먹으면 소주정소, 수라를 들면 대주정소라 했다. 정조는 현륭원에 거동하면서 용양봉저정 주정소에 잠시 머물기도 하였다. 용양봉저정은 현재

  • 주진 / 主鎭 [정치·법제/국방]

    진관편제에서 절도사가 있는 진. 주진에는 병영과 수영이 상당한 조직과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대개 많은 유방병과 병선이 배치되어 있었다. 조선초기 지방군사제도로서의 진관체제의 확립에 따라 주진→거진→제진의 명령계통이 확립되었는데 주진장(主鎭將)인 절도사에게는 상당한

  • 주청사 / 奏請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외교관계로 보내던 비정규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 주청의 내용을 보면, 중국측의 항의에 의한 해명, 정치적 중대사건에 대한 보고, 고명·인신의 수령 등과 같이 요청할 일이 주가 되고, 이밖에 연호 사용, 내정간섭에 대한 항의, 왜정 등의 보고,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