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이영준 / 李榮俊 [과학/과학기술]

    생몰년 미상. 조선 인조 때의 역관(曆官). 진주사(陳奏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두원(鄭斗源)과 함께 예수회 선교사인 로드리게스(Rodrigues, J., 陸若漢)에게 서양과학을 배웠다. 특히 서양식 천문추산법을 배워 그 지식을 조선에 전하였으며, 그들이 가지고 돌아온

  • 이영춘 / 李永春 [과학/의약학]

    1903∼1980. 의사·사회사업가. 본관은 평창(平昌). 호는 쌍천(雙泉). 평안남도 용강군 지성면에서 이종현(李宗鉉)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평양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9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다음, 모교에서 병리학을 연구, 1935년 일본 교토제국

  • 이예 / 李藝 [종교·철학/유학]

    1373(공민왕 22)∼1445(세종27).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왜적에게 잡혀간 지울산군사 이은 등을 시종한 공으로 아전의 역에서 면제되고 벼슬을 받았다. 회례부사, 통신부사, 첨지중추원사, 동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학파실기』가 있다

  • 이오수 / 李五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83∼1853). 아버지는 종주, 어머니는 유명휴의 딸이다. 1822년(순조 22) 진사시 합격 후 과거를 단념하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예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경학연구와 훈고에 심혈을 기울였다. 뜻있는 벗들과 세한계를 조직해 존현과 풍

  • 이옥 / 李沃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창정 증손, 할아버지는 심, 아버지는 관징, 어머니는 최호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즉위증광시에 병과로 급제, 사관, 예조좌랑,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

  • 이와쿠라 도모미 / 岩倉具視 [정치·법제/외교]

    1825-1883. 일본 정치가. 이와쿠라 사절단 정사, 1871년 조선사절단, 정한론을 반대. 1868년 왕정복고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메이지정부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1871년 외무경으로 취임하였다. 1871년 11월 20일 이와쿠라 사절단이 일본을 출발하였다.

  • 이완 / 李浣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4(현종 15).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수일, 어머니는 이귀년의 딸이다.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한 뒤 평안도병마절도사, 동부승지, 한성우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완용 / 李完用 [정치·법제/정치]

    주미 조선대리공사. 총리대신.친일파(1858∼1926). 1882년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94년 김홍집 내각의 외무협판이 되었고, 이듬해 박정양 내각의 학부대신과 중추원의관을 지냈다. 1905년 학부대신으로 을사조약을 체결하는 데 앞장섰다.

  •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온성현감, 경성현감, 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무안대군(撫安大君)이방번(李芳蕃)의 후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

  • 이용구 / 李容九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친일민족반역자(1868∼1912). 1890년 동학 입교, 러일전쟁 중 일본군을 도왔다. 일진회 명의로 을사조약체결을 지지하는 선언서를 발표했다. 동학출교 후 시천교를 직접 창설했다. 일진회회장으로서 ‘합방성명서’ 등을 발표, 매국행위를 자행하였다.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