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우금치전투 / 牛金峙戰鬪 [역사/근대사]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이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른 전투. 1894년 9월 재봉기 이후 동학 남접의 접주 전봉준은 수원을 거쳐 서울을 공격하기 위해서 북접과 연합전선을 이루었다. 전봉준은 4,000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공주로 올라가다가 논산에서 손병
우념재시문초 / 雨念齋詩文鈔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봉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4책. 활자본. 이만용(李晩用)의 교정과 아들 명오(明五)·숭오(崇五) 등의 편집을 거쳐 1892년(고종 29)에 간행되었다. 표제에는 ‘우념재시초’ 또는 ‘우념재시문초’로 되었으나, 내용으
우당시초 / 于堂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윤희구의 시 「교거잡감」·「동경잡영」·「소조자제」 등을 수록한 시집.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율
우당집 / 愚堂集 [종교·철학/유학]
송세호의 문집. 석판본. 서: 황헌(1905). 발: 송종수(1906). 4권 2책. 권1에는 시 151수가 실려있는데, 그 중에는 상당수의 만사가 들어있다. 권2에는 편지글이 38편의 실려 있는데, 김병익, 이학기 등과 주고받은 편지와 집안 조카에게 쓴 편지가 있다.
우리동무 [문학/구비문학]
1927년 한충이「원(猿)의 지혜」·「축계망리」 등 총 30여 편의 이야기를 수록하여 발간한 동화집.전래동화집. 1927년 한충의 운향서옥(芸香書屋)에서 발간하였다. 표지에는 ‘朝鮮童話(조선동화) 우리동무’라 되어 있다. 최남선(崔南善)이 서문을 쓰고, 이상범(李象範)
우리말본 / 우리말본 [언어/언어·문자]
최현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최현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본>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의
우부승선 / 右副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승선원의 관직. 1894년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이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1인으로 옹제를 겸임하도록 규정하였으며, 법무아문, 공무아문 등을 방망하도록 하
우정국 / 郵政局 [역사/근대사]
1884년 우편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884년에는 고종의 칙유로 군국사무아문에 우정총국을 설치하고 홍영식을 우정총판에 임명하였다. 1884년 한성부 중부 견평방 전의감 위치에 우정총국청사를 건설하고, 그 해 11월 17일부터 우정사무를 시작하였다.
우정국사건 / 郵政局事件 [역사/근대사]
1884년 갑신정변의 시발점이 된 사건. 개화당의 홍영식, 김옥균, 박영효 등은 정변을 일으켜 사대당인물들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정치개혁을 실시하려고 하였다. 1894년 음력 10월 17일로 정하고, 별궁에 불을 질러 거사의 신호를 삼기로 하였다. 당일 연회장을
우정사 / 郵程司 [역사/근대사]
1882년 12월 교통 및 체신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소속 4사 중의 하나로서, 그 임무는 전보, 역전, 철로 및 육해통로에 관한 일을 맡고, 관영과 민영을 가릴 것 없이 교통과 체신에 관한 제도를 제정하여 교통과 체신을 전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