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김재일 휘릉별검 해유문서 / 金載一 徽陵別檢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재일 휘릉별검 해유문서. 1791년(정조 15) 6월 일에 후임관이 호조로 첩정을 보내고, 동년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이관한 문서이다. 김재일(金載一)은 1788년(정조 12) 12월 21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30일에 홍전문(紅箭門)에서 숙배한 뒤에 도임하였

  • 김재현 / 金在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99). 1858년(철종 9)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경기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산군에도 포군을 설치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다. 이조판서·한성부부윤 등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문장이 매우 뛰어났다.

  • 김전전 / 金銓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결미 부분에 ‘가경(嘉慶) 2년’이라는 필사연대를 기입해 놓았다. 가경 2년은 정조 21년(1797)이므로, 조선 중기(선조∼숙종)에 쓰여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전반부는 영웅소설과 비슷하면서도 계모형 가

  • 김정 / 金淨 [종교·철학/유학]

    1486(성종 17)∼1521(중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호 증손, 할아버지는 처용, 아버지는 호조정랑 효정, 어머니는 윤고의 딸이다. 1507년 증광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에 보임, 수찬·병조좌랑을 거쳐 정언으로 옮겨졌다. 이어 병조정랑·부교

  • 김정견 / 金廷堅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담수이다. 정구·정경세의 문인이다. 1612년(광해군 4)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학문 연구에 힘썼다. 임진왜란의 와중에서도 경의의 연마에 힘쓰고 후진양

  • 김정국 / 金正國 [종교·철학/유학]

    1485(성종 16)∼1541(중종 36).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아버지는 예빈시참봉 연, 어머니는 허지의 딸, 안국의 동생이다. 김굉필의 문인이다. 1509년(중종 4)에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경상도관찰사, 예조참판,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 김정근 / 金禎根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1895년 지방관제 개혁 때 강계부관찰사를 지냈다. 1898년 11월 경무사로 임명, 이상재·방한덕·남궁억·정교 등 독립협회 간부 17명을 체포하였다. 또한 독립협회 사무실을 수색하는 등 독립협회 탄압에 앞장섰다. 이후 독립협회로부터

  • 김정묵 / 金正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9∼1799). 김장생의 후손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힘쓰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성리학 예설에 밝았으며 한원진의 논술이 이이·송시열에 위배됨을 지적하였다. 저서로는《과재유고》가 있다.

  • 김정운 / 金鼎運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문정공 김경여, 부친은 청주진병마첨절제사를 지낸 통훈대부 김창석, 생부는 청주목사 김명석이다. 호조정랑을 거쳐 합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이 합천, 삼가 등지를 장악하자 의병을

  • 김정집 / 金鼎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9). 할아버지는 좌의정 사목, 아버지는 선공감부정 영수, 어머니는 조헌진의 딸이다. 18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한성판윤·에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황해도관찰사로 재직 중 김대건 신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