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수륙재 / 水陸齋 [종교·철학/불교]
불교 의식의 하나. 물이나 육지에 있는 외로운 영혼과 배고픈 귀신에게 불교의 교법과 음식을 공양하는 법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971년 수원 갈양사에서 혜거국사가 처음 시행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에와서 크게 성행하였다. 현재는 뭍에서 행해지지는 않고 강이나 바다에서 시행되
수발집 / 溲勃集 [종교·철학/유학]
해남윤씨의 입향조인 어초은공파의 8대 후손인 낙서 윤덕희의 유고이다. <수발집>은 그의 나이 21세(1705년)부터 82세(1766년)까지 쓴 총 545편 818수의 시와 산문 10편을 싣고 있으며, 서문과 발문이 없는 필사본이다. 이 문집은 연대별로 되어 있어 생애ㆍ
수산문집 / 睡山文集 [종교·철학/유학]
김휘철의 문집. 활자본, 발:박승진(1924), 박위규, 7권3책. 1925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김태현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1․2에 시 202수, 권3․4에 서 79편, 권5에 잡저 10편, 서 8편, 기 5편, 발 8편, 권6에 상량문4편, 애사 1편, 축문
수신제 / 隧神祭 [종교·철학/민간신앙]
고구려에서 수신을 모시고 치르던 국가적 규모의 공동제사의식. 수신은 천신(天神)이 상자에 담겨 하강하였다고 하는 가야와 신라의 신들과는 달라서, 수혈(隧穴;동굴)이라는 성혈(聖穴) 안에 목각신상을 신체(神體)로 하여 모셔진 굴신(窟神)이다. 그리고 수신이 주몽(朱蒙),
수심결 / 修心訣 [종교·철학/불교]
불교문헌. 마음을 닦는 방법과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고려 보조국사 지눌이다. 저술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1198년 이후로 추정된다. 이 책은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중심사상은 돈오점수사상과 정혜쌍수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수약당문집 / 守約堂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제명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00년 6대손 조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남경희 서문, 권말에 조엄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만사 49수, 서 21편, 잡저·서 각 1편, 기 2편, 설 1편, 발 3편, 뇌문 1편, 권2에 제문 1
수위단회 / 首位團會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최고 의사결정기관. 원불교 교단통치의 핵심 조직체로서, 교단 최고 결의기관이다. 수위단회는 18인 이내의 원로단원 선거에 의하여 선발된 남녀 각 8인의 단원, 종법사가 특임하는 해외단원 및 단장 1인으로 조직하며 단장은 종법사가 맡는다. 수위단회가 처음 조직된
수은묘 / 垂恩廟 [종교·철학/유학]
1764년(영조 40)에 영건한 사도묘. 『수은묘영건청의궤』에 보면 정초는 1764년 3월 1일, 입주ㆍ상량은 4일에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졸재유고 / 守拙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유화의 시문집. 3권 3책. 목판본. 1834년(순조 34) 후손 정준·성양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에 시 480여 수, 권2·3에 서 15편, 소 7편, 문 4편, 기 4편, 서 1편, 잡저 31편,
수촌집 / 水村集 [종교·철학/유학]
김승학의 시문집. 석인본. 발:김제은(1977), 6권3책. 권1에 시150수, 권2에 시 41수와 서가, 권3에는 서와 기, 발, 지, 권4에는 잡저, 제문, 문, 광지, 고유문, 상량문이 수록되어 있고, 권5에는 유사, 묘표, 행략, 가장, 행장이, 권6에는 묘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