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불교설화 / 佛敎說話 [문학/구비문학]

    불교적인 교리를 주제로 담고 있는 설화. 세 가지 유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특이점이 있다. 첫번째 유형은 불교의 특정 종교 경전에 근거를 두고 있는 설화를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두번째 유형은 본래 경전과 무관한 것으로 토착적으로 전승되던 이야기 가운데 불

  • 불상출현담 / 佛像出現譚 [문학/구비문학]

    불상이 출현하여 신이한 권능을 구현하고 신성을 현시하는 것에 관한 설화. 불상의 출현담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먼저 존재가 실제로 출현하여 자신의 모습을 현시하고 세속의 사람들에게 추인하도록 하는 유형이다.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 비유담 [문학/구비문학]

    도덕적 교훈을 담은 짧은 이야기. 우화와 함께 풍유(諷諭)설화의 일종이다. 도덕적 문학유형이라는 점에서 우화와 비유담은 공통되는데, 이들을 엄격히 구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굳이 양자를 구별짓자면 우화가 의인화된 생물·사물의 이야기인 데 비해, 비유담은 인간의 이

  • 빈대절터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빈대가 많아서 절이 망하고 절터만 남았다고 하는 설화. 빈대절터 설화는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고 있으며, 이야기가 다양하게 변이되고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빈대절터의 설화적 요체는 빈대와 중, 기둥과 절터의 상징성에 있다. 흡혈곤충인 빈대 때문에 절이 망했다고 하는 것

  • 빨래하는 노래 [문학/구비문학]

    아낙네들이 빨래할 때 부르는 민요. 여성 노동요의 일반적 특징대로 빨래하는 활동을 제재로 하여 남녀간의 애정을 주제로 읊고 있다. 추운 겨울에 꽁꽁 얼어붙은 냇물을 깨고 홀로 빨래하는 외로움과 고통을 잊기 위해 상상의 날개를 마음껏 펴는 내용의 음영민요이다. 노래의 형

  • 뻐꾸기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뻐꾸기 또는 뻐꾹새라고 불리는 새의 유래에 관한 설화. 신이담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민간에서는 수종의 변형이 전래된다. 첫째는 「떡국새전설」이다. 둘째는 「풀국새전설」이다. 이 유형은 「콩쥐팥쥐」 이야기에 접속된다. 셋째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접속

  • 사금갑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소지왕 또는 비처왕이 못 속에서 나온 노인의 편지 때문에 죽을 위기를 넘겼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고, 소지왕에 관한 인물전설이면서,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서출지(書出池)라는 못의 지명전설이기도 하다.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1 사금갑조에 실려

  • 사냥꾼과 아내 [문학/구비문학]

    사냥꾼이 잡았던 사슴을 놓아주어 보답을 받았다는 설화. 동물보은담(動物報恩譚) 혹은 신이담(神異譚) 중 응보담(應報譚)에 속한다. 고려 말의 이제현(李齊賢)이 저술한 『역옹패설』에 수록되었고, 『고려사』 권94 서희조(徐熙條), 『세종실록』 지리지 경기도이천조, 『동국

  • 사냥놀이 [문학/구비문학]

    황해도 지역의 대동굿에서 연희되는 굿놀이. 대규모의 철물이굿·만수대탁·택굿 등 산사람의 복을 비는 굿에서 행하여진다. 돼지를 바치는 타살구능(군웅)굿 제차에 앞서 산돼지를 놓고 마당에서 행하여지며, 무녀와 함께 사냥꾼으로 분장을 한 상산막둥이가 등장하여 장구잡이와 재담

  • 사또놀이 [문학/구비문학]

    황해도 지역의 만수대탁(택)굿과 대동굿에서 연희되는 무당굿놀이. 늙은 신과 젊은 신의 교체 의례가 극화되어 있다. 만수대탁굿은 단골과 제자를 많이 둔 큰무당이 평생에 세 번밖에 할 수 없는 굿이다. 「사또놀이」는 만수대탁굿의 가장 중요한 거리로서 ‘헌 만신 나가고 새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