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곡성공북리지석묘 / 谷城拱北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곡성군 목사동면 공북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고인돌은 강이 흐르는 방향으로 흩어져 있는데 크게 세 개의 무리로 나누어진다. 이 중 5기가 1965년 국립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토제품의 칼자루끝장식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이 밖에도 경작시에 파괴된
곡성군 / 谷城郡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구례군, 서쪽은 담양군과 화순군, 남쪽은 순천시, 북쪽은 전라북도 남원시와 순창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05’∼127°24’, 북위 35°04’∼35°19’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547.46㎢이고, 인구는 3만 672명(
곡성군읍지 / 谷城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89년에 편찬된 전라남도 곡성군 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全羅南道谷城郡邑誌(전라남도곡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정조·순조 연간에 편찬된 『곡성읍지』와 『호남읍지』에 수록된 『곡성읍지』가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
곡성도림사계곡 / 谷城道林寺溪谷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에 있는 명승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101호. 노령산맥의 한 줄기가 동악산(動樂山) 줄기를 이루고, 이 동악산의 줄기 아래에 성출봉(聖出峰)이 있는데 이곳 도림사 앞의 계곡을 말한다. 이 절은 국보와 보물은 없으나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계
곡성주산리유적 / 谷城舟山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주산리에 있는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 유적은 섬진강의 지류인 옥과천(玉果川)을 따라 충적층보다 10m 정도 높은 고도에 그 상면이 놓여 있는 하안단구 퇴적층 상층부에서 발견되었다. 발굴조사는 1989년 12월 26일에서 1990년 1월 18일에
곡성태안사동종 / 谷城泰安寺銅鍾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1349호. 조선시대 불교 사찰에서 사용한 범종이며, 명문을 통해 158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종의 몸체는 곡선을 이루면서 구연부가 안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
곡성함허정 / 谷城涵虛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에 있는 조선전기 심광형이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정자.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1543년(중종 38) 심광형(沈光亨)이 만년에 유림들과 풍류를 즐기기 위해 세웠는데, 그 후 증손 청안현감(淸安縣監) 민각(民覺)이 쇠락
곡성향교 / 谷城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교촌리에 있는 향교. 1570년(선조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19년 방백(方伯) 이동직(李東稷)과 현감 이언철(李彦哲)이 중수하였으며, 1685년 다시 중수하였다. 전라
곡성현호적대장 / 谷城縣戶籍臺帳 [사회/촌락]
1756년 전라도 곡성현(현 곡성군)에서 조사·작성한 도상·예산·오기 등 3개 면의 호적을 정서하여 엮은 관찬서.호적대장. 1책 151매. 필사본.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유일하게 전한다. 책 끝에 현 전체의 호구 총수와 색목(色目)이 기재되어 있고, 또 호구성적(戶口成籍)
곡용 / 曲用 [언어/언어/문자]
체언의 굴절(屈折). 단어들의 어형변화를 굴절이라 하는데, 그 중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체언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어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일이 굴절이므로, 곡용은 명사 어간에 곡용어미가 결합하여 그 곡용어미가 담당하는 문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