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김육 / 金堉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실학자. 기묘팔현의 한 사람인 식 4대손, 할아버지는 군자감판관 비, 아버지는 참봉 흥우, 어머니는 현감 조희맹의 딸이다. 정언, 안변도호부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그

  • 김응남 / 金應南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충청도병마절도사 말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안우,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김덕유의 딸이다. 1567년 생원시에 합격, 1568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홍문관의 정자를 역임, 사가독서를

  • 김응생 / 金應生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학자 준. 13세의 어린 나이로 부친상을 당하여 시묘하자 고을사람들로부터 효성이 지극하다는 평을 들었다. 1549년(명종 4)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뒤 벼슬을 단념하고 향촌 교육에 뜻을

  • 김응선임명문서 / 金應善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11월 26일. 배종무관 김응선(金應善)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태자태사로 삼았

  • 김응순 / 金應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774). 할아버지는 영행, 아버지는 이건, 어머니는 조태과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다. 이후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70년에는 사직으로《동국문헌비고》의 편찬에 참

  • 김응정 / 金應鼎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김한걸(金漢傑)이며, 어머니는 해남 윤씨(海南尹氏)이다. 그는 명종의 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었을 때, 또 명종·선조가 죽었을 때에 고령에도 불구하고 상복을 입고 상사(喪事)에 임하였다. 당시 그는 비록 관직은 없

  • 김응조 / 金應祖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장례원사의 농, 아버지는 산음현감 대현, 어머니는 수의부위 찬금의 딸이다. 17세 때 유성룡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당시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보

  • 김응하 / 金應河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무신. 고려의 명장 방경 후손, 아버지는 증 승지 지사이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발탁, 선전관, 경원판관, 북우후 등을 역임하였다. 명나라 신종은 그가 용전분투하다가 장렬한 죽음을 당한 데 대한 보답

  • 김응환 / 金應煥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26년(순조 26). 조선 후기 효자. 문정공 하서 김인후의 후손이다. 부친은 김백휴이다. 부모 곁을 떠날까 두려워 과거시험 공부에 전념하지 않고, 부모 곁에서도 할 수 있는 경서 공부에만 힘을 썼다. 그러나 마음이 맞는 벗들과는 산수를 찾

  • 김의정 / 金義貞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1547(명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종석 증손, 할아버지는 군수 휘산, 아버지는 공조참판 양진, 어머니는 양천허씨로 서의 딸이다. 1526년(중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에 임명되고, 이어 수찬·정언·세자시강원사서에 이르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