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오효원 / 吳孝媛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신명, 숭신, 공옥 등 여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교육자.문인. 아버지는 당시 관리였던 수양산인 경금옹(慶今翁) 오시선(吳時善)이다. 1898년(광무 2)에는 의성과 이웃 두 군에서 실시하는 백일장에서 일등을 차지했다. 1902년(광무 6) 14세 때 공금을 사

  • 옥구이엽사농장소작쟁의 / 沃溝二葉社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7년 말전라북도 옥구 이엽사농장에서 한국인 소작농민들이 벌인 소작농민항쟁. 옥구농민조합을 중심으로 식민농업회사와 이를 비호하는 일제에 대항하여 싸운 내용이다. 이엽사는 일본인 지주 시라세이와 시라세이가 1926년에 설립한 전형적인 식민농업회사로서 본점을 전주에 두

  • 옥랑자전 / 玉娘子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여주인공 옥랑(玉娘)의 열행(烈行)을 그린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사실상 영흥부사가 시행한 심문의 기록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 일관성 및 사건의 현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사법(司法)

  • 옥추경 / 玉樞經 [종교·철학/도교]

    병굿이나 신굿 등에서 읽는 도가의 경전. <경국대전>에 도류가 읽는 도서로 전하고 있다. 현존하는 옥추경은 1831년 묘향산 보현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책머리에 44신상의 판화가 있고, 끝에는 부적이 있다. 이 경을 읽으면 천지귀신이 다 움직인다고

  • 온돌야화 / 溫突夜話 [문학/구비문학]

    1927년 작가 정인섭이 신화 · 동화 · 전설 · 기담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일어판 한국 설화집. 일본어판 한국설화집으로, 1927년 3월 18일 동경(東京)니혼서원(日本書院)에서 출간되었다. 단군(檀君), 산(山)과 천(川), 일월(日月), 왕여세두분(王女洗頭盆),

  • 온성전투 / 穩城戰鬪 [역사/근대사]

    1920년 홍범도. 서일, 최진, 양하 등이 이끄는 독립군이 두만강 대안의 온성일대에서 일본군과 벌인 일련의 전투. 1919년 3ㆍ1운동 이후 만주의 독립군들은 한층 사기가 고무되어, 그 해 8월부터 두만강을 건너 국내진입작전을 종종 전개하였는데, 두만강 결빙기를 틈타

  • 온양향교 / 溫陽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향교. 1871년(고종 8)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온양향교현황에 의하면, 1610년(광해군 2)에 법곡리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

  • 올림픽대회 / Olympic大會 [예술·체육/체육]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선정한 도시에서 4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스포츠경기 대회. 올림픽대회는 고대 그리스 제전경기(祭典競技)의 하나인 올림피아제(Olympia祭)에서 기원되었다. 올림피아제는 서기전 776년에 시작되어, 4년에 한 번씩 393년까지 총 293회가 개

  • 옹진광산 / 甕津鑛山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옹진군 옹진읍 수대리에 있는 광산. 원래 수대광산은 우리나라 사람이 경영하였으며, 은본위(銀本位)의 관계로 은을 주채광품으로 하였고, 옹진광산은 일본인이 경영하던 것을 1938년조선산금진흥회사(朝鮮産金振興會社)에 흡수되면서 수대광산과 함께 옹진광산으로 통합되었다

  • 옹진선 / 甕津線 [지리/인문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해주에서 옹진까지 연결한 단선협궤철도. 1930년 12월에 건설되었으며 길이는 42.6㎞이다. 철도역은 해주·청안·서해주·문정·서석·벽성·자양·신강령·냉정·옹진 등 10개가 있다. 이 철도는 현재 옹진반도 일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및 옹진광산에서 산출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