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곡부합록 / 穀簿合錄 [역사/조선시대사]

    1776년(정조 즉위년) 재정 절약을 위하여 중앙 각 관서와 군영의 보유 양곡수를 조사, 보고하게 하여 이를 종합 정리한 책. 수서본으로 10권 10책이었으나, 제2·3책이 없어져 8책만 규장각도서에 유일하게 현존한다. 호조전세·선혜청대동·균역청면세결·각영군보급둔세·호

  • 곡산광산 / 谷山鑛山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곡산군 이령면 거리소리(지금의 황해북도 신평군 만년노동자구)에 있는 중석(重石 : 텅스텐)광산.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의 경계에 동백년산(東百年山 1,246m)의 서사면 각처에 분산되어 있는 광산일부를 포함하여 붙여진 광산 이름으로 기주, 백년광산에 비하여 규모

  • 곡산군 / 谷山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의 동북단에 있는 군. 동쪽은 함경남도 문천군과 강원도 이천군, 서쪽은 황해도 수안군, 남쪽은 신계군, 북쪽은 평안남도 양덕군·성천군에 각각 접하고 있다. 동경 126°28′∼127°01′, 북위 38°37′∼39°10′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약간 긴 타원형을 이

  • 곡산분지 / 谷山盆地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곡산군(지금의 황해북도 곡산군)에 있는 분지. 북쪽에는 대각산(大角山, 1,277m)·두무산(杜霧山, 643m)·구봉산(九峰山, 916m), 동쪽에는 입암산[선바위산 : 立巖山, 1,107m]·고달산(高達山, 866m)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남쪽에는 덕업

  • 곡산읍지 / 谷山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황해도 곡산군 읍지.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역(疆域)·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管)·주명(州名)·관원(官員)·임속(任屬)·성적(聖蹟)·풍속(風俗)·성씨(姓氏)·인물(人物)·효열(孝烈)·물산(物産)·공헌(貢獻)·공서(公署)·각

  • 곡산향교 / 谷山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곡산군 곡산면 능동리에 있는 향교.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살문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谷城泰安寺廣慈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274호. 높이 약 3m. 본래 탑비(塔碑)와 함께 건립된 것이다. 탑비는 일찍이 파손되어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이 남아 있으나 이 부도는 온전한 형태로 보존되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 谷城泰安寺寂忍禪師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혜철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탑. 보물. 보물 제273호. 높이 3.1m. 사찰 중심을 약간 벗어난 북쪽 언덕에 있는데 주위에 흙담장을 쌓고 그 안에 탑비와 함께 나란히 서 있다.보존상태는 양호하여 상륜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谷城泰安寺靑銅大鈸鑼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바라. 보물 제956호. 지름 94㎝. 2매(枚) 1쌍(雙). 바라란 발(鉢)·발자(鉢子)·요발(鐃鈸)·동반(銅盤) 등으로 불리는 불교 타악기의 일종으로서, 그 형태는 마치 서양 악기인 심벌즈의 모습과 유사하다.

  • 곡성가곡리오층석탑 / 谷城柯谷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5층 석조 불탑.석탑. 보물. 보물 제1322호. 높이 약 6.5m. 현재 아래층 받침돌의 아래부분은 시멘트로 보수하여 구조를 알 수 없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도 없어진 상태이다.받침 부분은 일반적인 모습인 2중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