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김우태 / 金宇泰 [종교·철학/유학]

    1647년(인조 25)∼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김경신, 조부는 김계미. 부친 장사랑 김상현과 모친 선무랑 홍호약의 딸 부림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이절의 딸 일선김씨이다. 자라서 목재 홍여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처음 학문하는 방

  • 김우항 / 金宇杭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진선 증손, 할아버지는 덕승, 아버지는 청송부사 홍경, 어머니는 김광혁의 딸이다. 168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정언, 수찬, 교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김원행 / 金元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02∼1772).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본가의 할아버지 김창집이 노론 4대신으로 사사되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어머니 배소에 따라가《맹자》 ·《율곡집》·《우암집》등을 탐독하였다. 1725년(영조 1) 본가의

  • 김위 / 金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9∼1788). 1750년(영조 26) 문과에 급제하였다. 벼슬은 이조좌랑·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갈수헌문집》이 있다.

  • 김유 / 金楺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9(숙종45).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극형, 아버지는 관찰사 징, 어머니는 이의길의 딸이다. 박세채·송시열의 문인이다. 1683년(숙종 9) 사마시에 합격, 경학으로 추천받아 창릉참봉에 등용되었으며, 정랑을 거쳐 1699년 증광문과에

  • 김유경 / 金有慶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자진, 아버지는 진사 두징, 어머니는 윤필은의 딸이다. 1710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대사간, 대사헌, 형조참판, 좌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 김유기 / 金裕器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김천택(金天澤)이 그를 일러 “세상에 명창으로 이름이 알려졌다.”고 말한 바와 같이 당대를 대표하는 창곡의 명인이다. 자세한 전기는 알 수 없으며 기록들을 통해 추측할 뿐이다. 박영돈본(朴永弴本) 『해동가요』의 부록으로 실려 있는 『영언선(永

  •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裕成 永興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1892년(고종 29) 4월 21일 후임관이 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5월 초1일 절도사가 병조에 첩정을 올린 것이다. 김유성은 원직(元稙)의 아들로 유행(裕行)의 동생이다. 1891년(고종 28) 10월 14일에 본직을 제수 받았

  • 김유연 / 金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9∼1887). 1844년(헌종 10) 증광문과에 급제, 초계문신에 발탁되었다. 이후 한성부판윤,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866년(고종 3) 함경도관찰사 시절 변경방비 및 국경통상 등의 문제를 처리하였다.

  • 김유희 / 金有喜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한익, 조부는 김항주, 부친은 김노창이다. 1819년(순조 19) 식년시에 진사 3등 35위로 입격하였다. 1820년(순조 20) 6월에 원릉참봉, 1821년(순조 21) 9월에 금부도사에 임명, 1822년(순

페이지 / 1029 go